#1 여조삭비
#2 如鳥數飛
여조삭비(같을 여, 새 조, 자주 삭, 날 비)
‘새가 날갯짓을 자주 하는 것과 같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새 조(鳥)
새(BIRD) 조 (3급 해당)
鳥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새의 모습을 형상화한 상형문자이다. 상형자이므로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참고로 비슷한 모양의 섬 도(島)자와 함께 익혀두기 바란다.
* 섬 도(島) & 다도해(多島海) 학습 참고
활용 ① 일석이조 (一石二鳥, 하나 일, 돌 석, 두 이, 새 조 : 돌 하나로 두 마리의 새를 맞춰 떨어뜨림)
활용 ② 조구지필대시 (鳥久止必帶矢, 새 조, 오랠 구, 그칠지, 반드시 필, 띠 대, 화살 시 : 새도 한 곳에 오래 앉아 있으면 화살을 맞음)
활용 ③ 조족지혈 (鳥足之血, 새 조, 발 족, 갈 지, 피 혈 : 새발의 피, 극히 적은 양을 비유)
활용 ④ 궁조입회 (窮鳥入懷, 다할 궁, 새 조, 들 입, 품을 회 : 쫓기던 새가 사람 품안으로 날아든다는 뜻)
활용 ⑤ 비익조 (比翼鳥, 견줄 비, 날개 익, 새 조 : 암수가 눈과 날개가 하나씩이라 짝을 짓지 않으면 날지 못하는 새, 금슬이 좋은 부부를 지칭)
활용 ⑥ 경궁지조/상궁지조 (驚弓之鳥/傷弓之鳥 , 놀랄 경/상할 상, 활 궁, 갈 지, 새 조 : 화살에 놀란/상처를 입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봐도 놀람)
#4 여조삭비 사자성어 & 논어 학이편
여조삭비라는 사자성어는
논어 학이편에 나오는 말이다.
여조삭비(如鳥數飛)
‘마치 새가 날갯짓을 자주 하는 것과 같다.’
분명한 의미를 살피기 위해 원문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習, 鳥數飛也 學之不已 如鳥數飛
(습, 조삭비야 학지불이 여조삭비)
익히는(배우는) 것은
새가 반복하여 날갯짓을 하는 것이다.
끊임없이 배우는 것을
새가 반복해 날갯짓을 하여
나는 것과 같이 하라.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소자약(談笑自若) ‘태연하게 담소를 즐김’ & 태연자약 (0) | 2022.06.20 |
---|---|
염량세태(炎涼世態) ‘뜨거웠다 차가워지는 세태’ & 염량세태 유래 (0) | 2022.06.19 |
다도해(多島海) ‘섬이 많은 바다’ 다도해 뜻 (0) | 2022.06.18 |
송도삼절(松都三絶) ‘송도의 빼어난 세 가지’ & 송도삼절 황진이, 서경덕, 박연폭포 (0) | 2022.06.17 |
오비이락(烏飛梨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오비이락 뜻 & 오비이락 유래 (0) | 2022.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