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쪽에서 나온 푸른 빛
#2 靑出於藍(靑出於藍 靑於藍)
청출어람(푸를 청, 나갈 출, 어조사 어, 쪽 람)
'쪽*에서 나온 푸른 빛'
청출어람 청어람(푸를 청, 나갈 출, 어조사 어**, 쪽 람, 푸를 청, 어조사 어***, 쪽 람)
'쪽에서 나온 푸른 빛이 쪽보다 더 푸르다'
*쪽 :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
**於(어조사 어) : ~에서
***於(어조사 어) : ~보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푸를 청(靑)
푸를(blue) 청 靑 (6급 해당)
靑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이다. 금문상으로는 위의 그림에서 보듯, 싹이 우물앞에서 자라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싹은 날 생(生) 자로, 우물은 우물 정(井) 형태로 변화했다가, 현재의 靑 형태의 글자로 굳어졌다. 형상의 유래를 생각해보는 것도 좋지만, 글자 자체로 부수인 것들은 여러 번 써서 익숙해져도 좋다.
활용 ① 단청 (丹靑, 붉을 단, 푸를 청 : 붉음과 푸름, 집의 벽, 기둥, 등에 여러 빛깔로 그림과 무늬를 그림.)
‘백제 대통사, 사찰을 화려한 단청(丹靑)으로 칠한 흔적 확인되다.’
활용 ② 청와대 (靑瓦臺, 푸를 청, 기와 와, 대 대 : 푸른 기와의 누대, 우리나라 대통령 관저.)
‘최치현 전 청와대(靑瓦臺) 행정관, 국가보훈처 정책보좌관으로 임명되다.’
#4 스승보다 나은 제자
순자 권학편에 나오는 구절을 인용한다.
靑取之於藍而靑於藍
(청취지어람이청어람)
'푸른 빛은 쪽에서 취했으나, 쪽빛보다 더 푸르고'
氷水爲之而寒於水
(빙수위지이한어수)
'얼음은 물이 이루었으나, 물보다도 더 차다'
청출어람(靑出於藍)은 여기서 유래하며,
본래 청출어람이청어람(靑出於藍而靑於藍)이라 해야
'더 푸르다'라는 의미가 갖추어나지나,
일반적으로 청출어람이라 줄여서 쓴다.
학문을 함에 있어서
중도에 그침이 없이
이어나가야 함을 강조하며
순자가 한 말이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년하청(百年河淸) '백 년을 기다려도 황허의 물은 맑아지지 않음' (0) | 2021.08.25 |
---|---|
풍운지회(風雲之會) '훌륭한 임금과 어진 신하가 만남, 영웅이 시기를 만나 큰 공을 세움' (0) | 2021.08.25 |
만사휴의(萬事休矣) '만가지 일이 끝장, 모든 것이 끝장' (0) | 2021.08.24 |
지록위마(指鹿爲馬)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함' (0) | 2021.08.23 |
다반향초(茶半香初) '차를 반이나 마셔도 향은 처음과 같다'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