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형설지공 뜻

#2 螢雪之功
형설지공(개똥벌레 형, 눈 설, 갈 지, 공 공)
'반딧불과 눈에 책을 비추어 공부하여 이룬 공'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공 공(功)
功 자의 부수는 힘 력(力)이다. 장인(장인 공, 工)이 힘을 써서(힘 력, 力) 우수한 작품을 만들어 내는 공을 세웠다는 정도로 기억해 두자.
활용 ① 공신전 (功臣田, 공 공, 신하 신, 밭 전 : 조선시대 공신에게 주던 논밭.)
‘조선시대 공을 세운 사람이 받던 공신전(功臣田)은 세습이 가능했다.’
활용 ② 성대공자불모어중 (成大功者不謀於衆, 이룰 성, 클 대, 공 공, 놈 자, 아닐 불, 꾀 모, 어조사 어, 무리 중
: 큰 공을 이루는 자는 여럿과 꾀하지 않는다.)
논지덕자불화어속 (論至德者不和於俗) 지극한 덕을 논하는 자는 풍속과 화합하지 않고,
성대공자불모어중 (成大功者不謀於衆) 큰 공을 이루고자 하는 자는 보통 사람들과는 도모하지 않는다.
#4 형설지공 뜻, 형설지공 유래
형설지공 뜻
형설지공이란 한자 그대로 '반딧불과 눈의 공'으로,
반딧불과 눈에 책을 비춰 공부하여 이룬 공을 말한다.
*형설지공(螢雪之功)이라는 성어의 유래
진나라 차윤이라는 소년은
집안이 가난하여 등불을 켜는 데 사용할 기름조차 없어,
명주 주머니를 벌레 통으로 만들어 그 속에 반디를 수십 마리 잡아
거기서 나오는 빛으로 밤에도 공부하였으며,
같은 시대 손강이라는 소년 역시
집안이 가난하여 등불을 켤 기름이 없어,
겨울날 추위를 견디며 창으로 몸을 내밀어 쌓인 눈에
반사되는 달빛에 의지해 책을 읽으며 공부하였다고 한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0) | 2021.05.19 |
---|---|
절장보단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에 보태다' (1) | 2021.05.19 |
교언영색(巧言令色)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 & 교언영색 뜻 & 교언영색 선의인 (0) | 2021.05.19 |
입화습률(入火拾栗) ' 불속에 들어가 밤을 줍다' (0) | 2021.05.18 |
독서불구심해(讀書不求深解) '독서는 하나 심오한 뜻은 구하지 않는다' (0) | 202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