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백의종군(白衣從軍) '흰 옷을 입고 싸움터에 나감'

우성 2021. 12. 12. 00:02
반응형

#1 백의종군

#2 白衣從軍

백의종군(흰 백, 옷 의, 좇을 종, 군사 군)

흰 옷을 입고 군대를 따라감

벼슬이 없는 사람이 군대를 좇아 싸움터에 나감을 의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옷 의()

(cloth) (5급 해당)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다만, 다른 한자와 결합하여 부수로 쓰일 때는 옷의변 ()의 형태로 활용된다. 글자의 형태가 어렵지 않으니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활용  (, 짐승 수, 의원 의, 스승 사 : 가축에 생기는 여러 질병을 진찰하고 치료하는 의원.)

 

활용  민족 (民族, 흰 백, 옷 의, 백성 민, 겨레 족 : 흰 옷을 숭상하여 즐겨 입는 민족.)

*아래 링크 참조

 

 

백의민족(白衣民族) '흰 옷을 숭상하여 즐겨입는 민족'

#1 백의민족 #2 白衣民族 백의민족(흰 백, 옷 의, 백성 민, 겨레 족) ‘흰 옷을 숭상하여 즐겨입는 민족’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겨레 족(族) 겨레(people) 족 (5급 해당) 族에서 부수는 글자 좌측

nmd-pws.tistory.com

 

활용  식족이지예절 (食足而知禮節, 옷 의, 밥 식, 발 족, 말이을 이, 알지 예도 례 : 의식이 넉넉하여야 예를 앎.)

 

활용 야행 (夜行, 비단 금, 옷 의, 밤 야, 다닐 행 : 비단 옷을 입고 밤길을 가는 것처럼 아무 보람 없는 행동을 의미함)

 

#4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

백의종군(白衣從軍)

의미는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하얀 옷을 입고 군대를 좇아간다는 의미이다.

 

관용적으로는 관직이 없는 상태의 신분으로

전쟁터에 나가는 것, 즉 관직이나 직책에 관계없이

열심히 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시대에는 백의종군하도록 하는 처분을

제도화 하였는데, 이순신장군이 백의종군 처분을

두 번이나 받은 것으로 유명하다.

 

일례로,

1597년 임란 당시 이순신은 수군통제사였는데,

그를 시기하던 자들의 모함으로 옥에 갇혔고

이순신이 자리를 비우자 일본군에게 패하기 시작했다.

 

결국 선조는 이순신을 다시 전쟁터로 내보내게 되는데

직책을 내리지는 않고 전쟁터로 나가게 하는 백의종군

처분을 내렸다고 한다.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이순신에게

직위나 직책이 무슨 소용이였겠는가.

이순신은 백의종군하며 일본군과 싸우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