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불감훼상효지시야 2

자솔이정숙감부정(子帥以正孰敢不正) ‘그대가 거느리기를 바른 것으로써 하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겠는가’

#1 자솔이정숙감부정 #2 子帥以正孰敢不正 자솔이정숙감부정(아들 자, 거느릴 솔, 써 이, 바를 정, 누구 숙, 감히 감, 아닐 부, 바를 정) ‘그대가 통솔하기를 바른 것으로 하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으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감히 감 감히 (bold) 감 (4급 해당) 敢자의 부수는 칠 복(攴=攵,부수로 쓰일 때는 등글월문이라 칭함)자이다. 工(장인 공) + 耳(귀 이) + 攵(칠 복)의 결합으로 보아 ‘장인(工)의 귀(耳)에 거슬리는 말을 하면 회초리(攵)를 맞음에도 감히(敢) 그 말을 한다.’ 기억해두자. 활용 ① 언감생심 (焉敢生心, 어찌 언, 감히 감, 날 생, 마음 심 : 어찌 감히 그런 마음을 먹을 수 있으리) 활용 ② 불감훼상효지시야 (不敢毁傷孝之始也, 아니 불, 감히 감,..

불감훼상효지시야(不敢毁傷孝之始也) '감히 훼손하거나 손상시키지 않음이 효의 시작임'

#1 신체발부수지부모 #2 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孝之始也 신체발부수지부모 (身體髮膚受之父母) '신체의 털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므로,' 불감훼상효지시야 (不敢毁傷孝之始也) '감히 손상시키지 않음 효도의 시작이니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처음, 비로소 시(始) 처음, 비로소(beginning, start) 시 始 (5급 해당) 始 자의 부수는 여자 녀(女)이다. 여자 녀(女) 자와 별 태, 별 이름 태(台) 자가 결합한 한자가 비로소 시(始)이다. 임신한 여자(女)가 먹는 음식이 뱃속의 아이에게는 최초의 양분이 되어 밤하늘을 밝힐 별(台)과 같이 귀한 아이가 태어난다는 의미로 생각해두자. ​ 활용 ① 시조 (始祖, 처음 시, 조상 조 : 한겨레의 맨 우두머리 조상.) ‘고구려의 시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