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지사지 2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배워도 생각하지 않으면 사리에 어둡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1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2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학이불학즉망(배울 학, 말 이을 이, 아닐 부, 생각 사, 법칙 칙, 그물 망) ‘배우되 생각하지 않으면 사리에 어둡다’ 사이불학즉태(생각 사, 말 이을 이, 아닐 부, 배울 학, 법칙 칙, 거의 태) ‘생각하되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생각 사(思) 조사할(INVESRIGATE) 사 (4급 해당) 思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마음 심(心)자이다. 밭 전(田) + 마음 심(心)의 결합으로 옛날에는 농사일이 가장 중요했으므로 어디에 있든 ‘마음(心)은 항상 밭(田)에 가 있다.’ 즉 마음(心)은 항상 밭(田)을 생각한다(思)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가빈사현처 (家貧思賢妻, 집 가, 가난할 빈, 생각 사, 어질..

풍취각여(豊取刻與) ‘풍족하게 취하고 각박하게 주다’

#1 풍취각여 #2 豊取刻與 풍취각여(풍년 풍, 취할 취, 새길 각, 줄 여) ‘넉넉히 취하고 각박하게 베풂.’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풍년, 풍성할 풍(豊) 풍년, 풍성할(bumper year, plentiful, ample) 풍 (3급 해당) 豊 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콩 두(豆)자이다. 굽을 곡(曲)자와 콩 두(豆)자의 결합이 풍년 풍(豊)이다. 그릇이 굽어지도록(曲) 콩(豆)을 담을 수 있는 해는 풍년(豊)이며, 풍성한 해이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 豊자와 같은 뜻을 가진 조금 더 복잡한 모양의 豐(풍년 풍)자도 있으니 기억해두자. 활용 ① 풍요 (豊饒, 풍년 풍, 넉넉할 요 : 풍족하게 많아 넉넉함) 활용 ② 풍저창 (豊儲倉, 풍년 풍, 쌓을 저, 곳집 창 : 조선 시대 대궐 내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