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사군 2

조삼모사 (朝三暮四) ‘(원숭이에게)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의 도토리를 주다)’

#1 조삼모사 뜻 #2 朝三暮四 (아침 조, 석 삼, 저물 모, 넉 사)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넉 사(四) 넉 (four) 사 (6급2 해당) 四자의 부수는 큰입구몸(囗)이다. 큰 입구 몸(囗)과 어진사람인발(儿)이 결합된 형태로 보아, ‘동굴(囗)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사람(儿)이 4(四)명은 있어야 가능하다’라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숫자 1, 2, 3을 나타내는 한자인 一(한 일), 二(두 이), 三(석 삼) 처럼 갑골문에서는 나뭇가지 네 개를 나열한 것으로 기록되어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형태가 四으로 변동된 것으로 이해해도 좋다. 독서삼도(讀書三到) ‘(송나라의 주희가 주창한) 책을 읽을 때의 3가지 방법’ & 구도, 안도, 심도 #1 독서삼도 #2..

한사군(漢四郡) '서기 108년, 중국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쳐서 그 땅에 세운 네 개의 군으로 낙랑, 임둔, 현도, 진번'

#1 한사군_ 낙랑 임둔, 현도, 진번 #2 漢四郡 한사군(한수 한, 넉 사, 고을 군) ‘서기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치고 그 땅에 세운 4개의 군’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고을 군(郡) 고을(country) 군 (5급 해당) 郡자의 부수는 고을 읍(邑)자의 변형인 우부방(⻏)이다. 임금 군(君)자와 고을 읍의 부수 변형인 우부방(邑)이 결합한 형태이다. 임금(君)이 다스리는 고을(邑 = ⻏) 중에 그 규모가 큰 것이 바로 군(郡)이다는 정도로 기억해 두자. 참고로 행정단위의 규모는 시>군(郡)>구>읍(邑)>면>동 순서이다. * 임금 군(君) _충신불사이군 참고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충성스러운 신하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않음' #1 불사이군/충신불사이군 #2 不事二君/忠臣不事二君..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