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형설지공 4

신원설치(伸冤雪恥) ‘원한을 풀고 부끄러운 일을 씻어냄’

#1 신원설치 #2 伸冤雪恥 신원설치(펼 신, 원통할 원, 눈 설, 부끄러울 치) ‘원한, 원통함을 풀고 부끄러움, 치욕을 씻어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눈 설(雪) 눈(snow) 설 (6급 해당) 雪자의 부수는 비 우(雨)자이다. 雨(비 우) + 彐(돼지 머리 계)의 결합이다. 글자 하단의 돼지 머리 계(彐)는 ‘돼지머리’의 의미로는 쓰이지 않고 ‘오른손을 움크리며 무엇인가를 쥐는 모습’을 형상화한 부수라고 생각하고 ‘彐 = 손’이라고 간략히 기억해두자. ‘비(雨)가 뭉쳐져 내리면 손(彐)으로 잡을 수 있는 눈(雪)이 된다.’라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형설지공 (螢雪之功, 반딧불이 형, 눈 설, 갈지, 공 공 :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음’ & 주경야독 뜻과 유래

#1 주경야독 #2 晝耕夜讀 주경야독(낮 주, 밭갈 경, 밤 야, 읽을 독) ‘낮에는 밭을 갈고(농사를 짓고) 밤에는 책을 봄(공부를 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낮 주(晝) 낮(DAY) 주 (5급 해당) 晝자의 부수는 해 일(日)*자이다. 글자를 쪼개어 보면 붓 율(聿) + 해 일(日) + 한 일(一)자로 보거나 글 서(書) + 하나 일(一)자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글(書)을 읽고 쓰기에는 하루종일 해가 지평선(一) 위로 떠있는 낮(晝)에 쓰는 것이 좋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이에 더하여 모양이 유사한 글 서(書)*자와 그림 화(畵)**자도 함께 비교 학습하여야 한다. 유사한 모양의 세 글자를 비교하여 정리하자면, 1) 붓(聿)으로 말하는(曰) 것이 글(書)이며, 2) 글(書)을 읽고 ..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白戰不殆)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1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2 知彼知己 白戰不殆 지피지기 백전불태(알 지, 저 피, 알 지, 몸 기, 일백 백, 싸울 전, 아닐 불, 위태로울 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손자 손(孫) 손자(grandson) 손 (5급 해당) 孫 자의 부수는 아들 자(子)이다. 아들 자(子)와 맬 계(系)*자의 결합이 손자 손(孫)이다. 의미를 만들어 보면, ‘아들(子)의 대를 이어주는(系) 사람은 바로 손자이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맬 계(系)자는 아래 링크 참조 계파(系派) '정당이나 집단 등의 내부에서 출신이나 연고, 이권 등에 의해 결합된 배타적 모임' #1 계파 #2 系派 계파(맬 계, 갈래 파) ‘집단 내부에서 출신, 연고, 이권 등에 의해 결..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 & 형설지공 뜻, 형설지공 유래

#1 형설지공 뜻 #2 螢雪之功 형설지공(개똥벌레 형, 눈 설, 갈 지, 공 공) '반딧불과 눈에 책을 비추어 공부하여 이룬 공'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공 공(功) 功 자의 부수는 힘 력(力)이다. 장인(장인 공, 工)이 힘을 써서(힘 력, 力) 우수한 작품을 만들어 내는 공을 세웠다는 정도로 기억해 두자. 활용 ① 공신전 (功臣田, 공 공, 신하 신, 밭 전 : 조선시대 공신에게 주던 논밭.) ‘조선시대 공을 세운 사람이 받던 공신전(功臣田)은 세습이 가능했다.’ 활용 ② 성대공자불모어중 (成大功者不謀於衆, 이룰 성, 클 대, 공 공, 놈 자, 아닐 불, 꾀 모, 어조사 어, 무리 중 : 큰 공을 이루는 자는 여럿과 꾀하지 않는다.) ​ 논지덕자불화어속 (論至德者不和於俗) 지극한 덕을 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