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간단명료
#2 簡單明瞭
간단명료(간략할 간, 홑 단, 밝을 명, 밝을 료)
‘간단하고 명료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간략할 간
간략할 (simple) 각 (4급 해당)
簡자의 부수는 글자 상단의 대나무 죽(竹)자이다. 竹(대나무 죽) + 間(사이 간)의 결합이다. 옛날에 중국에서는 대나무 잘라 만든 죽간(竹簡, 문자를 기록하던 대나무 조각)에 글을 써서 전달했는데 대나무(竹) 사이(間)에는 많은 내용을 적을 수는 없었으므로 핵심만 간략히(簡) 적어야 했다는 의미로 간략할 간(簡)자가 되었다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간결 (簡潔, 간략할 간, 깨끗할 결 : 간단하고 깨끗함)
활용 ② 간이 (簡易, 간략할 간, 바꿀 역/쉬울 이 : 간단하고 쉬움)
#4 간단명료
간단명료(簡單明瞭)란
말 그대로 간단하고 명료함을 뜻한다.
간단(簡單)하다는 것은
복잡하거나 어수선하지 않고
간략하고 또렷한 것을 말한다.
명료(明瞭)하다는 것은
애매하거나 흐릿하지 않고
뚜렷하고 분명한 것을 말한다.
우리는 흔히 상대방의 말이
핵심을 찌르지 못하고 답답하게 겉돌고 있을 때
‘간단명료하게 핵심만 얘기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방에 감초(藥房甘草) ‘약을 제조하는 한약방에 단 맛이 나는 풀’ (2) | 2023.09.24 |
---|---|
간성지재(干城之才) ‘방패와 성과 같은 구실을 하는 인재,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인재’ (0) | 2023.09.24 |
경각심(警覺心) ‘정신을 차리고 경계하거나 조심하는 마음’ & 경각심 뜻 (0) | 2023.09.18 |
일각이 여삼추(一刻-如三秋) ‘매우 짧은 시간이 삼 년과 같이 길게 느껴짐’ & 일각이 여삼추 뜻 (0) | 2023.09.12 |
유급휴가(有給休暇) ‘급료(給料)가 지급되는 휴가’ & 유급휴가, 연가, 공가, 병가 (2) | 202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