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덕본재말
#2 德本財末
덕본재말(클 덕, 근본 본, 재물 재, 끝 말)
‘덕이 근본이요 재물은 말단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재물 재(財)
재물(property) 재 (4급 해당)
財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조개 패(貝)자이다. 조개 패(貝)*자와 재주 재(才)**자의 결합으로, 조개(貝)의 재주, 재능(才)은 옛날 물물교환 시대에서 재물(財)의 기능을 가졌었다는 정도로 기억해두면 된다.
* 조개 패(貝) 참고
패총(貝塚) ‘조개더미, 조개무덤’
#1 패총 #2 貝塚 패총(조개 패, 무덤 총) ‘조개무지, 조개무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조개 패(貝) 조개(clam, shell) 패 (2급 해당) 貝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눈 목(目)자와 여덟 팔(八)
nmd-pws.tistory.com
** 재주 재(才) 참고
칠보지재, 칠보재 '일곱 걸음 걷는 동안 시를 짓는 재주'
#1 칠보지재 '일곱걸음을 걷는 동안 시를 짓는 재주' #2 七步才/ 七步之才 칠보재, 칠보지재(일곱 칠, 걸음 보, 갈 지, 재주 재)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에 시를 짓는 재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nmd-pws.tistory.com
활용 ① 불의지재 (不義之財, 아닐 불, 옳을 의, 갈 지, 재물 재 : 의롭지 못한 방법으로 얻은 재물)
활용 ② 재수발원 (財數發願, 재물 재, 셈 수, 필 발, 원할 원 : 재수가 있기를 부처님께 빌다)
#4 덕본재말_덕은 근본이요, 재물은 말단이다
덕본재말(德本財末)
대학(大學)에 나오는 구절이다.
덕본재말 뜻은
덕은 근본이고 재물은 말단이라는 뜻이다.
덕이 있으면 사람들이 모이므로
자연히 재물이 유통되고 쌓인다는 의미이다.
그 구절을 잠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有德此有人(유덕차유인)
有人此有土(유인차유토)
有土此有財(유토차유재)
有財此有用(유재차유용)
덕이 있으면 사람이 생기고(따르고)
사람이 있으면 땅이 생기고
땅이 있으면 재물이 생기고
재물이 있으면 쓰임이 생긴다.
德者本也(덕자본야)
財者末也(재자말야)
덕이 근본이고
재물은 말단이다.
外本內末(외본내말)
爭民施奪(쟁민시탈)
근본을 도외시하고 말단을 들여놓으면
백성을 다투게하여 재물을 빼앗게 한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기원(新紀元) ‘새로운 기원’ & 기원전 BC 기원후 AD (0) | 2022.03.13 |
---|---|
적재적소(適材適所) ‘적당한 (재능을 갖춘) 인재를 적합한 자리에 쓰다’ (0) | 2022.03.08 |
패총(貝塚) ‘조개더미, 조개무덤’ (0) | 2022.03.08 |
간헐적 단식(間歇的 斷食)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단식함’ & 간헐적 단식 방법, 간헐적 단식 효과, 간헐적 단식 부작용 (0) | 2022.03.08 |
기승전결(起承轉結) ‘(시상을) 일으키고 이어받아 전환시키고 끝을 맺음’ 기승전결 구조, 기승전결 뜻, 기승전결 한자 (0) | 2022.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