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부생모육
#2 父生母育
(아버지 부, 날 생 어머니 모, 기를 육)
‘아버지는 낳으시고 어머니는 기르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기를 육(育)
기를 (raise) 육 (7급 해당)
育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육달월(月)이다. 글자를 쪼개보면 亠(돼지해머리 두) + 厶(사사 사) + 月(육달월)의 결합으로 볼 수도 있으나 암기에 편하도록, 아들 자(子)를 거꾸로 뒤집은 형태(아이가 엄마 뱃속에서 나올 때 머리부터 나오는 모습을 연상)와 육달월(月)의 결합으로 보아, 막 출산하여 머리부터 나온 아이를 고기를 먹여가며 기른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육성 (育成, 기를 육, 이룰 성 : 가르쳐 기름)
활용 ② 육영공원 (育英公院, 기를 육, 꽃부리 영, 공평할 공, 집 원 : 조선 고종 23년(1886) 설치한 외국어를 가르치던 기관)
#4 부생모육
부생모육(父生母育)이란
아버지는 (자식을) 낳게 하시고
어머니는 (자식을 낳아) 길러주신다는 의미이다.
조선시대 선조13년(1580) 정철(鄭澈)이 지은
훈민가(訓民歌) 16수 중 제1수에 나오는 구절을 보면
부생모육의 은혜에 대한 언급이 있다.
아바님(아버지) 날 나흐시고 어마님 날 기르시니(= 부생모육)
두 분 곳 아니시면 이 몸이 사라실가(태어나 살 수 있었으리)
하늘같이 끝이 업는 은덕을 어띠 다혀 갑으오리(어떻게 다 갚으리)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팔자(四柱八字) ‘4가지의 기둥, 8가지 글자’ & 천간과 지지 (1) | 2023.01.29 |
---|---|
선입견(先入見) ‘(실제 경험 보다 앞서서) 먼저 마음속에 들어와 형성된 견해나 관념’ & 선입견 뜻, 선입견과 편견 (1) | 2023.01.29 |
부자유친(父子有親)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음(있어야 함)’ & 부자유친 뜻, 삼강오륜 (2) | 2023.01.25 |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 ‘날씨가 추운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앎’ &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야 논어 (0) | 2023.01.25 |
어불성설(語不成說) ‘말이 (이치에 맞지 않아) 말이 되지 않음’ & 어불성설 뜻 (0) | 202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