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자유친 뜻
#2 父子有親
(아버지 부, 아들 자, 있을 유, 친할 친)
‘아비와 아들 사이에 친함이 있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있을 유(有)
있을 (exist) 유 (7급 해당)
有자의 부수는 달 월(月)자이다. 왼 좌(𠂇) + 달 월(月)의 형태로 왼손으로 달을 손에 쥘 듯이 달은 가까이에 있다(有)는 정도로 기억해두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활용 ① 삼인행필유아사 (三人行必有我師, 석 삼, 사람 인, 갈 행, 반드시 필, 있을 유, 나 아, 스승 사 :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음)
삼인행 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 '세 명이 길을 가면 그 가운데 반드시 스승이 있다'
#1 삼인행 필유아사_세 사람이 길을 걸으면 논어(論語) 술이편에 나오는 공자님의 말씀이다. "세 사람이 길을 걸으면 그 가운데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2 三人行必有我師 삼인행 필유아사(석
nmd-pws.tistory.com
* 먼저 선(先) &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 참고
활용 ② 유필유방 (遊必有方, 놀 유, 반드시 필, 있을 유, 모 방 : 먼 곳에 갈 때에는 반드시 그 행방을 알림)
유필유방(遊必有方) ‘멀리 갈 때에는 필히 그 행방을 알려야 한다’
#1 유필유방 #2 遊必有方 (놀 유, 반드시 필, 있을 유, 모 방) ‘먼 곳에 갈 때에는 (부모님께) 반드시 그 행방을 알려야 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모 방(方) 모 (the side) 방 (7급 해당) 方자는 글
nmd-pws.tistory.com
* 모 방(方) & 유필유방(遊必有方) 참고
활용 ③ 행유부득반구저기 (行有不得反求諸己, 다닐 행, 있을 유, 아닐 부, 얻을 득, 돌이킬 반, 구할 구, 모두 제/어조사 저, 몸 기 : 행해서 얻는 바가 없으면 오히려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음)
행유부득반구저기(行有不得反求諸己) ‘행하여 얻는 얻는 바가 없거든 오히려 자신을 돌아보고
#1 행유부득반구저기 #2 行有不得反求諸己 (다닐 행, 있을 유, 아닐 부, 얻을 득, 돌이킬 반, 구할 구, 모두 제(어조사 저), 몸 기) ‘행하여 얻는 바가 없다면 오히려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는다’ #3
nmd-pws.tistory.com
* 구할 구(求) & 행유부득반구저기 참고
활용 ④ 자모유패자 (慈母有敗子, 사랑 자, 어미 모, 있을 유, 패할 패, 아들 자 : 자애로운 어머니에게는 슬하에 버릇없는 자식이 있음)
자모유패자(慈母有敗子), 자모패자(慈母敗子) '자애로운 어머니 밑의 버릇없는 자식'
#1 자모유패자/ 자모패자 #2 慈母有敗子, 慈母敗子 자모유패자, 자모패자(사랑 자, 어미 모, 있을 유, 패할 패, 아들 자) 자애가 지나친 어머니 슬하에는 방자하고 버릇없는 자식이 있다. #3 상용한
nmd-pws.tistory.com
* 어미 모(母) & 자모패자/자모유패자 참고
#4 부자유친 뜻 & 삼강오륜
삼강오륜(三綱五倫)이란
유교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과 5가지의 도리를 말한다.
삼강(三綱)은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
즉 임금은 신하의, 아비는 자식의, 지아비는 지어미의 벼리*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벼리 강(綱) : 그물을 짤 때 그 근본이 되는 굵은 줄을 말하는데,
법도, 기본, 근본, 책임자 등의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
삼강오륜 중 오륜(五倫)은
부자유친(父子有親)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부부유별(夫婦有別)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장유유서(長幼有序)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질서가
붕우유신(朋友有信)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티스토리 블로그 작업물을 기반으로 전자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어문회 8급 배정한자부터 2급배정한자(대학생 교양 수준)까지 한자 낱 글자 하나하나를 그 어원과 생성원리를 함께 고민해
nmd-pws.tistory.com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입견(先入見) ‘(실제 경험 보다 앞서서) 먼저 마음속에 들어와 형성된 견해나 관념’ & 선입견 뜻, 선입견과 편견 (1) | 2023.01.29 |
---|---|
부생모육(父生母育) ‘아버지는 낳으시고 어머니는 기르심’ (1) | 2023.01.25 |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 ‘날씨가 추운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앎’ &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야 논어 (0) | 2023.01.25 |
어불성설(語不成說) ‘말이 (이치에 맞지 않아) 말이 되지 않음’ & 어불성설 뜻 (0) | 2023.01.24 |
권모술수(權謀術數) ‘권세와 모략 등 갖은 방법과 수단을 동원하는 술책’ & 권모술수 뜻 (0) | 202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