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조(扶助), 부조금(扶助金)
扶助(부조 : 도울 부/ 도울 조)
부조(扶助)란 다른 사람의 큰일에
돈이나 물건 등을 보태어 도와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조금(扶助金), 부좃돈이란 남을 돕기 위해 주는 돈으로써
장례식, 결혼식 등을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2 축의(祝儀), 축의금(祝儀金)
祝儀(축의 : 빌 축, 축하할 축/ 거동 의, 법도 의)
축의(祝儀)란 축하의 예를 표시한다는 의미이므로,
축의금(祝儀金)은 결혼식장에서 축하의 뜻으로 내는 돈이다.
#3 조의(弔儀), 조의금(弔儀金)
弔儀(조의 : 조문할 조/ 거동 의, 법도 의)
조의(弔意)란 죽음을 슬퍼하며 예를 표한다는 의미이므로,
조의금(弔意金)은 장례식에서 타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뜻으로 내는 돈이다.
#4 부의(賻儀), 부의금(賻儀金)
賻*儀(부의 : 부의 부/ 거동 의, 법도 의)
부의(賻儀) 역시, 조의(弔意)와 동일하게
초상집에서 타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뜻으로 내는 돈이다.
*부의 부(賻)자 자체로
초상집에 도와주는 의미로
돈이나 물품을 보태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5 부조금, 축의금, 조의금, 부의금
정리하면,
부조는 남을 도울 때이므로,
결혼식장, 장례식장 모두 사용가능하나,
결혼식장에서는 축하의 의미로 축의금을 사용하며,
장례식장에서는 죽음을 애도하는 의미로 조의금, 부의금을 쓰면 된다.
# 6 그 외 _ 결혼식장/장례식장 봉투쓰는 법
적을 때는 위에서 아래, 즉 세로로 적는다.
결혼식장에서는 축결혼, 축화혼, 축성혼을 세로로 적으면 된다.
祝(축) 축(祝) 축(祝)
結(결) 화(華) 성(聖)
婚(혼) 혼(婚) 혼(婚)
축결혼 : 결혼을 축하함
축화혼 : 빛나는 결혼을 축하함
축성혼 : 성스러운 결혼을 축하함
장례식장에서는 조의, 부의, 근조 등을 세로로 적는다.
조(弔) 부(賻) 근(謹)
의(儀) 의(儀) 조(弔)
조의 : 조문하며 예를 표함
부의 : 부의하며 예를 표함
근조 : 삼가 조문함
한자어만 다를뿐 내용은 대동소이하니,
어느 한자를 사용하든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7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티스토리 블로그 작업물을 기반으로 전자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어문회 8급 배정한자부터 2급배정한자(대학생 교양 수준)까지 한자 낱 글자 하나하나를 그 어원과 생성원리를 함께 고민해
nmd-pws.tistory.com
'생활 한자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제사상 차리는 법, 설제사 관련 한자어, 설제사상 차리는 방법, 설제사상 차리기, 홍동백서, 조율이시, 반서갱동, 시접거중, 어동육서, 좌포 (0) | 2021.09.16 |
---|---|
임차인, 임대인, 전대차, 임대차, 묵시적 갱신, 계약갱신청구권 부동산 전세계약 관련 용어정리, 간인, 확정일자, 대항력, 전입신고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