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반응형
#1 삽화

#2 揷禾
삽화(꽂을 삽, 벼 화)
‘모를 심어라’, ‘뻐꾸기의 별칭’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벼 화(禾)
벼(rice plant) 화 (2급 해당)
禾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삐침 별(丿)과 나무 목(木)이 결합한 모양으로, 벼가 여물어 고개를 숙이고 있는 모습(禾)을 형상화했다고 기억해두면 쉽다.
활용 ① 화묘 (禾苗, 벼 화, 모 묘 : 벼의 모)
활용 ② 화척 (禾尺, 벼 화, 자 척 : 소 잡는 일을 생업으로 하던 천민, 후에 백정이라 불림)
#4 뻐꾸기의 별칭
삽화(揷禾)란
‘모를 심어라’는 의미로
뻐꾸기의 별칭이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종(芒種)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 24절기의 하나, 24절기 뜻, 24절기 유래, 그 외 24절기_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 (0) | 2022.02.27 |
---|---|
중차대(重且大) ‘중요하고도 큰’ & 중차대하다, 중차대한, 중차대 뜻, 중차대 의미 (0) | 2022.02.27 |
제주도(濟州島) ‘우리나라 최남단에 자리한 제일 큰 섬’ & 삼다도, 제주도, 탐라 (0) | 2022.02.26 |
일촌광음불가경(一寸光陰不可輕) ‘한 마디 시간도 가볍게 여기지 말 것’ (0) | 2022.02.24 |
덕업상권(德業相勸) ‘좋은 일은 서로 권함’ & 향약 4대 덕목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