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뭇잎 하나 떨어지면
#2 一葉知秋
일엽지추(하나 일, 잎 엽, 알 지, 가을 추)
'나뭇잎 하나로 가을임을 알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가을 추(秋)
가을(autumn, fall) 추 秋 (6급 해당)
秋 자의 부수는 좌측의 벼 화(禾) 자이다. 벼(禾)가 붉게(火, 불 화) 익어가는 계절이 바로 가을이다.
활용 ① 춘추 (春秋, 봄 춘, 가을 추 : 봄과 가을, 어른의 나이에 대한 존칭.)
‘어르신, 올해 춘추(春秋)가 어떻게 되십니까?’
활용 ② 추호 (秋毫, 가을 추, 터럭 호 : 가을의 털, 가을철에 털갈이를 하여 가늘어진 짐승의 털과 같이 몹시 작음을 비유.)
‘구차하게 공직을 연장할 마음은 추호(秋毫)도 없다.’
활용 ③ 일각여삼추 (一刻如三秋, 한 일, 새길 각, 같을 여, 석 삼, 가을 추 : 일각이 삼년의 가을(삼년)과 같다. 몹시 지루함.)
‘마스크가 부족하여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의 심정으로 기다리고 있다.’
* 일각삼추, 일일삼추, 일일여삼추 등으로도 활용.
#4 산 속의 비는 밤중에 대나무를 울리고,
載唐人詩曰(재당인시왈)
당나라 사람이 시를 지어 이르길,
山僧不解數甲子(산중불해수갑자)
산 속의 중은 '갑자'를 세어보지 않아도,
一葉落知天下秋(일엽락지천하추)
나뭇잎 하나 떨어지면 온 세상이 가을인 것을 안다.
일엽지추란,
부분적인 현상만 보고서도,
전체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세상을 단순히 파악하는 방법은
추상화와 구체화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눈에 보이는 현상들은,
추상화된 원리가 구체화되어 일면으로 나타난 것에 불과하므로
구체화된 현상하나만보고도 그 전체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
송강(松江) 정철의 5언시를 소개한다.
秋日作 (추일작)
가을 날에 지음
山雨夜鳴竹 (산우야명죽)
'산 속의 비는 밤에 대나무를 울리고'
草蟲秋近床 (초충추근상)
'풀 벌레 소리 가을 침상에 가깝구나.'
流年那可駐 (유년나가주)
'흐르는 세월을 어찌 멈출꼬'
白髮不禁長(백발불금장)
'흰 머리 길어짐을 막을 수 없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절불굴 (百折不屈) '백 번 꺾여도 굴하지 않음' (0) | 2021.08.19 |
---|---|
표리부동(表裏不同) '겉과 속이 다름' & 표리부동 뜻, 표리부동 한자 (0) | 2021.08.19 |
불감훼상효지시야(不敢毁傷孝之始也) '감히 훼손하거나 손상시키지 않음이 효의 시작임' (0) | 2021.08.18 |
고침안면(高枕安眠)'높은 베개를 베고 편히 잠' /고침단명(高枕短命) '높은 베개를 베고 자면 단명함' (0) | 2021.08.17 |
하로동선(夏爐冬扇)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