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승자강
#2 勝人者有力 自勝者强
승인자유력(이길 승, 사람 인, 놈 자, 있을 유, 힘 력)
자승자강(스스로 자, 이길 승, 놈 자, 강할 강)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있는 것이고
싸우지 않고 절로 이기는 자는 강한 것이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이길 승(勝)
이길(win) 승 (5급 해당)
勝 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 아래의 힘 력(力)자이다. 그러나, 글자를 분해해보면 좌측의 육달월(肉->月)과 게으를 권(劵)자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의 몸(月)의 게으름(劵)을 이겨내기 위해 항상 힘쓴다는 정도로 생각해 두자.
* 참고로 게으를 권(劵) 자는 뭉칠 권(龹) 그리고 그 아래의 힘 력(力)자의 결합이다. '龹'을 더 쪼개어 보면, 여덟 팔(八)과 지아비 부(夫)자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활용 ① 호승지심 (好勝之心 : 좋아할 호, 이길 승, 갈지, 마음 심 : 남을 이기기를 좋아하는 마음)
활용 ② 승패병가상사 (勝敗兵家常事, 이길 승, 패할 패, 병사 병, 집 가, 항상 상, 일 사 : 이기고 지는 일은 병가에서 늘상 있는 일.)
* 승패병가상사 아래 링크 참조
승패병가상사 '이기고 지는 일은 병가에서 늘 있는 일'
#1 이기고 지는 일은 #2 勝敗兵家常事 승패병가상사(이길 승, 패할 패, 군사 병, 집 가, 항상 상, 일 사) '이기고 지는 일은 병가에서 항상 있는 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패할 패(敗) 敗 자의
nmd-pws.tistory.com
#4 절로 이기다
승인자유력, 자승자강
(勝人者有力 自勝者强)
노자 도덕경에 나오는 구절이다.
첫째 구절은
‘남을 이기는 자는 물론 힘이 있는 것’이라
해석하면 될터인데,
두 번째 구절은
잘못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다.
‘자신(自)을 이기는 자는 강하다’로 해석하면 안되고
‘저절로(自) 이기는 자가 강하다’로 해석해야 한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년지계막여수곡(一年之計 莫如樹穀)'일 년의 계획은 곡식을 심는 것만한 것이 없다' (0) | 2021.12.26 |
---|---|
삼세지습지우팔십(三歲之習至于八十)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0) | 2021.12.26 |
응행격식(應行格式) '응당 행하여야 할 격식' (0) | 2021.12.19 |
경천애인(敬天愛人)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사랑함' (0) | 2021.12.19 |
전도양양(前途洋洋) '앞날, 앞길이 큰 바다처럼 열려 희망참' (0) | 2021.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