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피사체 뜻
#2 피사체
피사체(입을 피, 베낄 사, 몸 체)
‘사진에 찍히는 물체 즉,
사진을 찍을 때 그 대상이 되는 물체’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베낄 사(寫)
베낄(COPY) 사 (4급 해당)
寫자의 부수는 집 면(宀)자이다. 집 면(宀)과 까치 작(舃)자의 결합이다. 까치 작(舃)자를 쪼개어보면, 절구 구(臼)와 새조(鳥)의 아랫부분을 살짝 변형한 모습으로 이루어져있음을 알 수 있다. 까치라는 새(鳥)는 절구(臼)모양의 까치집을 짓고 산다는 데에서 까치 작(舃)자의 모습을 연상할 수 있다. 종합하면, 까치(舃)가 집(宀)을 짓는 것을 보면 베낀 듯이 똑같이 짓는다는 정도로 기억하면 좋다. <까치(舃)집(宀)은 모두 베껴(寫) 놓은 듯이 모두 유사하다>
활용 ① 사진 (寫眞, 베낄 사, 참 진 : 있는 그대로 그려낸 상, 사진기로 찍어 낸 그 화상)
활용 ② 모사 (模寫, 본뜰 모, 베낄 사 :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본떠서 그림)
활용 ③ 필사 (筆寫, 붓 필, 베낄 사 : 베끼어 쓰다)
활용 ④ 청사진 (靑寫眞, 푸를 청, 베낄 사, 참 진 : 미래 계획에 대한 모습)
#4 피사체 뜻
被寫體
피사체란
사진을 찍을 때 그 대상이 되는 물건을 말한다.
박귀섭 작가는
무용수들의 사진을 찍는 작가인데,
무용수에 대하여 이렇게 표현한바 있다.
“무용수는 아름다운 선을 만들고
감정을 표현하는 최고의 피사체이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비삼척(吾鼻三尺) ‘내 코가 석자’ 오비삼척 뜻, 내 코가 석자다 뜻과 유래 (0) | 2022.04.20 |
---|---|
빙산(氷山)의 일각(一角) ‘얼음 산의 뿔’ 빙산의 일각 뜻 (0) | 2022.04.20 |
내홍(內訌) ‘내부에서 저희들끼리 일으키는 분쟁’ 내홍 뜻, 내홍 한자 (0) | 2022.04.20 |
곡우(穀雨) ‘24절기 중 곡식을 자라게 하는 비가 내리는 절기’ & 곡우 절기, 곡우 뜻 한자 (0) | 2022.04.20 |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배워도 생각하지 않으면 사리에 어둡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