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구풍월 2

당구풍월(堂狗風月) ‘서당개 삼 년에 풍월을 읊는다’ &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의 뜻

#1 당구풍월 &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2 堂狗風月 당구풍월(집 당, 개 구, 바람 풍, 달 월)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집 당(堂) 집(house) 당 (6급 해당) 堂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흙 토(土)자이다. 尙(오히려 상) + 土(흙 토)의 결합이다. 尙(오히려 상) 자에서 음을 따왔고(상->당), 土(흙 토)자에서 뜻을 가져온 형성자이다. 의미를 굳이 만들어보자면 집(堂)을 지을 때는 단단한 시멘트 보다는 오히려(尙) 흙(土) 위에다 짓는 것이 좋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승당입실 (升堂入室, 되 승, 집 당, 들 입, 집 실 : 마루에 올라 방으로 들어감) 승당입실(升堂入室) '마루에 올라 방으로 들어가다' & 승당입실 뜻 #1 마..

일중즉측 월만즉휴(日中則昃 月滿則虧) ‘태양도 정오가 지나면 기울고 달도 차면 이지러짐’

#1 일중즉측 월만즉휴 #2 日中則昃 月滿則虧 (해 일, 가운데 중, 곧 즉, 기울 측, 달 월, 찰 만, 곧 즉, 이저러질 휴) ‘해도 정오가 지나면 기울고 달도 차면 이지러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달 월(月) 달 (moon/month) 월 (6급2/ 해당) 月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왼쪽이 움푹 들어간 초승달을 형상화한 글자라 기억해두면 된다. 유의할 점은 고기 육(肉)자가 부수로 변형할 때 육달월(月)의 형태를 띄게 되어 달 월(月)자와 그 형태가 똑같아 진다는 점이다. 참고로 月자가 들어간 한자를 보면 月이 어느 변에 자리잡고 있는지를 따져보면 된다. 만약 月이 우측변에 위치한다면 ‘달’과 관련된 것(기약할 기(期))이고, 좌측변에 위치한다면 ‘고기’와 관계된 것(간 간(肝..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