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견의불위 무용야(見義不爲 無勇也) ‘의를 보고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우성 2022. 2. 22. 21:42
반응형

#1 견의불위 무용야

 

#2 見義不爲 無勇也

견의불위 무용야(볼 견, 옳을 의, 아닐 불, 할 위, 없을 무, 날랠 용, 어조사 야)

의를 보고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날랠 용()

날랠(quick, brave) (5급 해당)

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힘 력()자이다. 글자를 쪼개어 보면 길 용() + 힘 력()자로 볼 수도 있으만, 암기에 쉽도록 )  자 형태와 사내 남()*자의 결합으로 보아, 형태의 모자를 쓰고 있는 사내는 날래고 용감하다라고 기억해두자.

*사내 남()&남부여대 참고

 

 

남부여대(男負女戴) ‘남자는 짐을 지고, 여자는 짐을 머리에 인다’

#1 남부여대 #2 男負女戴 남부여대(사내 남, 질 부, 여자 녀, 일 대) ‘남자는 짐을 지고, 여자는 짐을 머리에 인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사내 남(男) 사내(man) 남 (6급 해당) 男 자의 부수는

nmd-pws.tistory.com

 

활용 필부지(匹夫之, 짝 필, 지아비 부, 갈 지, 날랠 용 : 하찮은 필부의 용기,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부리는 용기를 의미)

 

활용 패군지장불가이언 (敗軍之將不可而言, 패할 패, 군사 군, 갈 지, 장수 장, 아닐 불, 옳을 가, 써 이, 말씀 언, 날랠 용 : 패장은 용()을 얘기할 수 없다.)

 

#4 의(義)를 보고도

견의불위(見義不爲)의 뜻은

의(義)를 보고도 행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무용(無勇)이란 용기가 없다는 뜻이다.

 

즉, 견의불위 무용야(見義不爲 無勇也),

‘옳은 것을 보고도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로 해석할 수 있다.

 

견의불위 무용야(見義不爲 無勇也)

논어(論語) 위정(爲政)편에서 찾아볼 수 있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非其鬼而祭之 諂也(비기귀이제지 첨야)

자신이 모실 귀신이 아님에도

그를 제사지냄은 아첨이며

 

見義不爲 無勇也(견의불위 무용야)

의를 보고도 이를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우리는 옳은 것을 보고

왜 행하지 않는가?

 

두려움으로 생각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또는 생각이 많아 두렵기 때문이다.

 

누구나가 옳다고 생각하는 가치가 있고

가치에 부합하는 옳은 행동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것을 실천하지 않는 것은

두려움 때문이다.

 

모르고서 실천하지 않는 것보다

알고서 실천하지 않는 것이 더 좋지 않다.

 

겉으로는 용맹과 용기를 말하지만

우리는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과감히 행할

용기를 지니고 살고 있는지 돌이켜 볼 일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