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양약고어구(良藥苦於口) ‘좋은 약은 입에 쓰다’ 양약고어구 뜻, 양약고어구 충언역어이

우성 2022. 3. 21. 17:47
반응형

#1 양약고어구 이리어병 충언역어이 이리어행

#2 良藥苦於口 忠言逆於耳

양약고어구(어질 량, 약 약, 쓸 고, 어조사 어, 입 구)

충언역어이(충성 충, 말씀 언, 거스를 역, 어조사 어, 귀 이)

좋은 약은 입에 쓰고, 충언은 귀에 거슬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어질 량()

어질(BENIGN, GOOD) (4급 해당)

자의 부수는 괘이름 간()이다. 점 주()와 괘이름 간()의 결합으로 어질다, 훌륭하다, 좋다의 의미를 가진다. 비교적 글자 모양이 단순하니 의미를 만들기 보다는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활용  위천 (爲賤, 누를 압, 어질 량, 할 위, 천할 천 : 양민을 눌러 강제로 천민으로 만들다)

 

활용   (, 한가할 한, 어질 량 : 현직이 없이 놀던 벼슬아치)

 

활용 현모(賢母, 어질 현, 어미 모, 어질 량, 아내 처 : 어진 어머니이며 동시에 착한, 어진 아내)

 

활용 가빈사현처 국난사(家貧思賢妻 國難思, 집 가, 가난할 빈, 생각 사, 어질 현, 아내 처, 나라 국, 어려울 난, 어질 량, 서로 상 :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을 생각한다)

 

#4 양약고어구 뜻, 충언역어이 뜻, 양약고어구 충언역어이 

良藥苦於口 而利於病

양약고어구 이리어병

 

忠言逆於耳 而利於行

충언역어이 이리어행

 

좋은 약은 입에 쓰지만 병에는 이롭고

충언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에 이롭다.

 

좋은 약이 입에 쓰다는 유명한 말은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에서 전한다.

 

공자가어는 삼국시대 위나라 왕숙이

편찬한 책으로 공자의 언행과 문인과의 논의를

수록한 책으로 본디 27권이나, 현재는 10권만 전한다.

 

그 원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자왈 양약고어구 이리어병 충언역어이 이리어행

孔子曰 良藥苦於口 利利於病 忠言逆於耳 而利於行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좋은 약은 입에는 쓰나 병에는 이롭고

충언은 귀에는 거슬리나 행실에는 이롭다.

 

탕무이 고이창 걸주이유유이망

湯武以 袴而昌 桀紂以唯唯而亡

탕왕은 충신이 있었기에 번창했고

걸왕과 주왕은 곧이 따르는 신하만 있어 망했다.

 

군무쟁신 부무쟁자 형무쟁제 사무쟁우 무기과자 미지유야

君無爭臣 父無爭子 兄無爭弟 士無爭友 無己過者 未之有也

임금에게 다투는 신하가 없고

아비에게 다투는 아들이 없고

형에게 다투는 동생이 없고

선비에게 다투는 친구가 없으면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자가 없을 것이다. 

 

고왈 군실지 신득지 부실지 자득지 형실지 제득지 기실지 우득지

故曰 君失之 臣得之 父失之 子得之 兄失之 弟得之 己失之 友得之

따라서 말하길

임금이 실책을 하면 신하가 간하고

아비가 실책을 하면 아들이 간하고

형이 실책을 하면 동생이 간하고

자신이 잘못을 하면 친구가 간해야 한다.

 

시이국무위망지조 가무패난지악 부자형제무실 이교유무절야

是以國無危亡之兆 家無悖亂之惡 父子兄弟無失 而交遊無絶也

이렇게 한다면

나라가 위태롭고 망하는 징조가 없고

집에 패자의 악행도 없으며

부자와 형제간 잘못도 없고

친구와의 사귐도 끊기지 않을 것이다.


양약(良藥)

즉 효과가 좋은 약은 입에 쓰다.

충언(忠言)

즉 충성스런 말은 귀에는 거슬린다.

 

그러나 입에 쓰다는 이유로, 귀에 거슬린다는 이유로

껄끄러움을 피하기만 한다면 어떻게 될까?

병은 영영 고칠 수 없고 행실은 나아짐이 없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