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자 5

거자불추 내자불거(去者不追 來者不拒) ‘가는사람 잡지말고 오는사람 막지 마라 사자성어’

#1 거자불추 내자불거 #2 去者不追 來者不拒 거자불추 내자불거(갈 거, 놈 자, 아닐 불, 쫓을 추, 올 래, 놈 자, 아닐 불, 막을 거) ‘가는사람 잡지말고 오는사람 막지 마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막을 거 막을 (defend) 거 (4급 해당) 拒자의 부수는 手(손 수)자의 부수 변형인 扌(재방변)이다. 扌(=手 손 수) + 巨(클 거)의 결합으로 손(扌)을 들어 앞으로 다가올 큰(巨) 재앙 따위를 막는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당랑거철 (螳螂拒轍, 사마귀 당, 사마귀 랑, 막을 거, 바퀴자국 철 :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음) 활용 ② 거부권 (拒否權, 막을 거, 아닐 부, 권세 권 : 거부할 수 있는 권리) #4 거자불추 내자불거 ‘가는사람 잡지말고 오는사람 막지 말라.’..

민가사유지불가사지지(民可使由之不可使知之) ‘백성을 따라오게끔 할 수는 있어도 그 이유를 알게 하기는 어려움’

#1 민가사유지불가사지지 #2 民可使由之不可使知之 (백성 민, 옳을 가, 하여금 사, 말미암을 유, 갈 지, 아닐 부, 알 지) ‘백성으로 하여금 따라오게 할 수는 있으나 그 이유를 알게 하기는 어려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옳을 가(可) 옳을 (right) 가 (4급 해당) 可자의 부수는 입 구(口)자이다. 입 구(口) + 하나 일(一) + 갈고리 궐(亅)의 형태로 볼 수도 있지만 형태가 단순하므로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하자. 한(一) 마디 말을 입으로 할 때에도 (口) 올곧은(亅) 원칙에 따라 옳은(可) 소리를 해야한다고 기억해도 좋다. 활용 ① 가관 (可觀, 옳을 가, 볼 관 : 꼴이 볼 만함) 가관(可觀) ‘꽤 볼만함, 구경거리가 될만큼 우스움’ & 가관이다, 가관이다 뜻 #1 가관..

행유부득반구저기(行有不得反求諸己) ‘행하여 얻는 얻는 바가 없거든 오히려 자신을 돌아보고 원인을 찾는다’

#1 행유부득반구저기 #2 行有不得反求諸己 (다닐 행, 있을 유, 아닐 부, 얻을 득, 돌이킬 반, 구할 구, 모두 제(어조사 저), 몸 기) ‘행하여 얻는 바가 없다면 오히려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구할 구(求) 구할(SEEK) 구 (3급 해당) 求자의 부수는 물 수(水=氺)자이다. 글자를 쪼개보면 물 수(水) + 하나 일(一) + 점 주(丶)의 결합으로 볼 수 있으나 그 형태가 단순하니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물(水)에 빠진 자는 하나(一)의 지푸라기(丶) 같은 것이라도 구하려고(求) 애쓴다는 정도로 기억해도 좋다. 활용 ① 자구다복 (自求多福, 스스로 자, 구할 구, 많을 다, 복 복 :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함) 자구다복(自求多福) ‘스스로 많은 복을 ..

문질빈빈 연후군자(文質彬彬 然後君子) ‘(글을 씀에 있어서) 형식과 바탕이 잘 어울린 후에야 군자라 할 수 있다’

#1 문질빈빈 연후군자 #2 文質彬彬 然後君子 문질빈빈(글월 문, 바탕 질, 빛날 빈) ‘형식(외견)과 본질(내용)이 잘 어울림(조화로움)’ 연후군자(그러할 연, 뒤 후, 임금 군, 아들 자) ‘그러한 후에야 군자이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바탕 질(質) 바탕(BASE/BASIS) 질 (4급 해당) 質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조개 패(貝)자이다. 글자를 쪼개어보면 도끼 근(斤)*+ 도끼 근(斤)+ 조개 패(貝)**로 이루어지는데, 두 자루의 도끼(斤+斤)와 재물(貝)을 연관지어 ‘금도끼 은도끼’이야기를 떠올리면 쉽다. ‘금도끼도 자신의 것이 아니고, 은도끼도 자신의 것이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정직한 마음이 있어야 재물(貝)을 얻을 수 있는 본질, 바탕(質)에 가까워진다고 생각해두자. 한 ..

안빈낙도(安貧樂道) '빈곤함에도 마음을 편히 여기며 도를 지킴'

#1 안빈낙도 뜻 #2 安貧樂道 안빈낙도(편안할 안, 가난할 빈, 즐길 락, 길 도) '가난을 편안히 여기며 도를 즐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편안할 안(安) 安에서 부수는 집 면, 갓머리 면(宀)이다. 갓머리를 부수로 쓰는 한자들은 집과 관련지어 생각하면 된다. 집에 여자가 다소곳이 앉아 있는 모습을 형상화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해석해보고 싶다. ‘아들이 학교 공부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갈 때, 집에 어머니(女)께서 기다리고 있으니 마음이 편하며, 남편이 일을 마치고 퇴근길에 아내(女)가 기다리는 집으로 돌아갈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진다.’ ​​ 활용 ① 안식 (安息, 편안할 안, 쉴 식 : 편안하게 쉬다.) ​‘안식(安息)일’을 가리키는 히브리어 ‘솨바트’는 ‘일을 중지하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