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어위정편 2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배워도 생각하지 않으면 사리에 어둡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1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2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학이불학즉망(배울 학, 말 이을 이, 아닐 부, 생각 사, 법칙 칙, 그물 망) ‘배우되 생각하지 않으면 사리에 어둡다’ 사이불학즉태(생각 사, 말 이을 이, 아닐 부, 배울 학, 법칙 칙, 거의 태) ‘생각하되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생각 사(思) 조사할(INVESRIGATE) 사 (4급 해당) 思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마음 심(心)자이다. 밭 전(田) + 마음 심(心)의 결합으로 옛날에는 농사일이 가장 중요했으므로 어디에 있든 ‘마음(心)은 항상 밭(田)에 가 있다.’ 즉 마음(心)은 항상 밭(田)을 생각한다(思)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가빈사현처 (家貧思賢妻, 집 가, 가난할 빈, 생각 사, 어질..

견의불위 무용야(見義不爲 無勇也) ‘의를 보고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1 견의불위 무용야 #2 見義不爲 無勇也 견의불위 무용야(볼 견, 옳을 의, 아닐 불, 할 위, 없을 무, 날랠 용, 어조사 야) ‘의를 보고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날랠 용(勇) 날랠(quick, brave) 용 (5급 해당) 勇 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힘 력(力)자이다. 글자를 쪼개어 보면 길 용(甬) + 힘 력(力)자로 볼 수도 있으만, 암기에 쉽도록 ) ‘龴’자 형태와 사내 남(男)*자의 결합으로 보아, 龴형태의 모자를 쓰고 있는 사내는 날래고 용감하다라고 기억해두자. *사내 남(男)&남부여대 참고 남부여대(男負女戴) ‘남자는 짐을 지고, 여자는 짐을 머리에 인다’ #1 남부여대 #2 男負女戴 남부여대(사내 남, 질 부, 여자 녀, 일 대) ‘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