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상가상 2

신원설치(伸冤雪恥) ‘원한을 풀고 부끄러운 일을 씻어냄’

#1 신원설치 #2 伸冤雪恥 신원설치(펼 신, 원통할 원, 눈 설, 부끄러울 치) ‘원한, 원통함을 풀고 부끄러움, 치욕을 씻어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눈 설(雪) 눈(snow) 설 (6급 해당) 雪자의 부수는 비 우(雨)자이다. 雨(비 우) + 彐(돼지 머리 계)의 결합이다. 글자 하단의 돼지 머리 계(彐)는 ‘돼지머리’의 의미로는 쓰이지 않고 ‘오른손을 움크리며 무엇인가를 쥐는 모습’을 형상화한 부수라고 생각하고 ‘彐 = 손’이라고 간략히 기억해두자. ‘비(雨)가 뭉쳐져 내리면 손(彐)으로 잡을 수 있는 눈(雪)이 된다.’라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형설지공 (螢雪之功, 반딧불이 형, 눈 설, 갈지, 공 공 :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

주마가편(走馬加鞭)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하다’ & 주마가편의 뜻과 유래

#1 주마가편 #2 走馬加鞭 (달릴 주, 말 마, 더할 가, 채찍 편) ‘달리는 말에 채찍을 더하다(채찍질하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더할 가(加) 더할 (add) 가 (4급 해당) 加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힘 력(力)자이다. 힘 력(力)자와 입 구(口)자의 결합으로, 힘든 친구를 만나면 힘(力) 닿는 데까지 입으로도(口) 힘이 되는 말을 더하여(加) 준다는 의미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설상가상 (雪上加霜, 눈 설, 윗 상, 더할 가, 서리 상 : 눈 위에 서리) 활용 ② 가야물감야물 (加也勿減也勿, 더할 가, 잇기 야, 말 물, 덜 감, 잇기 야, 말 물 : 더도말고 덜도 말라, 한가위의 풍성한 만족을 일컬음) #4 주마가편의 뜻 & 주마가편 유래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한다는 뜻의 주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