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옹야편 3

지자요수 인자요산(知者樂水 仁者樂山)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함’

#1 지자요수 인자요산 #2 知者樂水 仁者樂山 (알 지, 놈 자, 좋아할 요, 물 수, 어질 인, 놈 자, 좋아할 요, 뫼 산)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뫼 산(山) 뫼 (mountain) 산 (8급 해당) 山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땅 위로 우뚝 솟은 3개의 산봉우리를 형상화한 글자라 기억해두면 된다. 활용 ① 타산지석 (他山之石, 다를 타, 뫼 산, 갈 지, 돌 석 : 다른 산의 돌) 타산지석 '다른 산의 돌' #1 다른 산의 돌 #2 他山之石 타산지석(다를 타, 뫼 산, 갈 지, 돌 석) '다른 산의 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남, 다를 타(他) 남(stranger), 다를(different) 타 他 (4급 해당)..

문질빈빈 연후군자(文質彬彬 然後君子) ‘(글을 씀에 있어서) 형식과 바탕이 잘 어울린 후에야 군자라 할 수 있다’

#1 문질빈빈 연후군자 #2 文質彬彬 然後君子 문질빈빈(글월 문, 바탕 질, 빛날 빈) ‘형식(외견)과 본질(내용)이 잘 어울림(조화로움)’ 연후군자(그러할 연, 뒤 후, 임금 군, 아들 자) ‘그러한 후에야 군자이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바탕 질(質) 바탕(BASE/BASIS) 질 (4급 해당) 質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조개 패(貝)자이다. 글자를 쪼개어보면 도끼 근(斤)*+ 도끼 근(斤)+ 조개 패(貝)**로 이루어지는데, 두 자루의 도끼(斤+斤)와 재물(貝)을 연관지어 ‘금도끼 은도끼’이야기를 떠올리면 쉽다. ‘금도끼도 자신의 것이 아니고, 은도끼도 자신의 것이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정직한 마음이 있어야 재물(貝)을 얻을 수 있는 본질, 바탕(質)에 가까워진다고 생각해두자. 한 ..

경이원지(敬而遠之) ‘공경하되 멀리함(가까이하지는 않음)’

#1 경이원지 #2 敬而遠之 경이원지(공경 경, 말 이을 이, 멀 원, 갈 지) ‘공경하되 가까이 하지는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공경 경(敬) 공경(RESPECT) 경 (4급 해당) 敬자의 부수는 칠 복(攴=攵)이다. 진실로/구차할 구(苟)*자와 칠 복(攵)의 결합으로 자식이 진실로(苟)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회초리를 들어 때리는(攵) 부모의 마음은 공경(敬)받음이 마땅하다는 정도로 기억해두면 좋다. * 진실로/구차할 구(苟) & 아유구용(阿諛苟容) 참고 아유구용(阿諛苟容) ‘아첨하고 구차스럽게 굶’ & 아유구용 교언영색 #1 아유구용 #2 阿諛苟容 아유구용(언덕 아, 아첨할 유, 진실로/구차할 구, 얼굴 용)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 구차스럽게 아첨함’ #3 상용한자 18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