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지자요수 인자요산(知者樂水 仁者樂山)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함’

우성 2022. 9. 12. 22:01
반응형

#1 지자요수 인자요산

#2 知者樂水 仁者樂山

(알 지, 놈 자, 좋아할 요, 물 수, 어질 인, 놈 자, 좋아할 요, 뫼 산)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뫼 산()

(mountain) (8급 해당)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땅 위로 우뚝 솟은 3개의 산봉우리를 형상화한 글자라 기억해두면 된다.

 

활용 타산지석 (之石, 다를 타, 뫼 산, 갈 지, 돌 석 : 다른 산의 돌)

 

 

타산지석 '다른 산의 돌'

#1 다른 산의 돌 #2 他山之石 타산지석(다를 타, 뫼 산, 갈 지, 돌 석) '다른 산의 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남, 다를 타(他) 남(stranger), 다를(different) 타 他 (4급 해당) 他 에서 부수는 사람 인(人.

nmd-pws.tistory.com

* 다를 타() & 타산지석(他山之石) 참고

활용 우공이산 (愚公移, 어리석을 우, 공평할 공, 옮길 이, 뫼 산 : 우공이 산을 옮김)

 

 

우공이산(愚公移山) '우공이 산을 옮기다' & 우공이산 뜻, 우공이산 유래

#1 우공이산 뜻_우공이 산을 옮기다 #2 愚公移山 우공이산(어리석을 우, 공평할 공, 옮길 이, 뫼 산) '우공이 산을 옮기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옮길 이(移) 移 자의 부수는 좌측의 벼 화(禾)

nmd-pws.tistory.com

* 옮길 이() & 우공이산(愚公移山) 참고

 

활용 적토성산 (積土成, 쌓을 적, 흙 토, 이룰 성, 뫼 산 : 흙이 쌓여 산이 됨)

 

 

적토성산(積土成山) '흙을 쌓아 산을 이루다'

#1 흙을 쌓아 올려 #2 積土成山 적토성산(쌓을 적, 흙 토, 이룰 성, 뫼 산) '흙을 쌓아 산을 이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이룰 성(成) 이룰(achieve) 성 成 (5급 해당) 成 자의 부수는 창 과(戈) 자이

nmd-pws.tistory.com

* 이룰 성() & 적토성산(積土成山) 참고

 

활용 역발산기개세 (力拔氣蓋世, 힘 력, 뽑을 발, 뫼 산, 기운 기, 덮을 개, 인간 세 : 힘은 산을 뽑고 기개는 세상을 덮음)

 

 

역발산기개세 '힘은 산을 뽑을 만하며 기운은 세상을 덮을 만하다' & 역발산기개세 뜻과 유래

#1 역발산기개세_산을 뽑고 세상을 덮을 만한 기개 #2 力拔山氣蓋世 역발산기개세(힘 력, 뽑을 발, 뫼 산, 기운 기, 덮을 개, 세상 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기운 기(氣) 기운(energy) 기 氣 (6급

nmd-pws.tistory.com

* 기운 기() &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 참고

활용 인심조석변 산색고금동 (人心朝夕變 色古今同, 사람 인, 마음 심, 아침 조, 저녁 석, 변할 변, 뫼 산, 빛 색, 옛 고, 이제 금, 같을 동 : 사람 마음은 아침저녁 변하나 산의 빛깔은 예나 지금이나 같음)

 

 

인심조석변 산색고금동(人心朝夕變, 山色古今同) '사람의 마음은 아침저녁으로 변하나, 산색은

#1 인심조석변 산색고금동_산색은 고금이 같다 #2 人心朝夕變, 山色古今同 인심조석변(사람 인, 마음 심, 아침 조, 저녁 석, 변할 변) 산색고금동(뫼 산, 색 색, 옛 고, 이제 금, 같을 동) #3 상용한

nmd-pws.tistory.com

* 이제 금() & 인심조석변 산색고금동 참고

 

활용 산심연후사 화락이전춘 (深然後寺 花落以前春, 뫼 산, 깊을 심, 그럴 연, 뒤 후, 절 사, 꽃 화, 떨어질 락, 써 이, 앞 전, 봄 춘 : 산이 깊은 후에 절이 있고, 꽃이 떨어지기 전이 봄임)

 

 

산심연후사(山甚然後寺) '산이 싶어야 절이 있는 법'

#1 산심연후사_산 깊은 곳에 #2 山甚然後寺 花落以前春 산심연후사(뫼 산, 깊을 심, 그럴 연, 뒤 후, 절 사) 화락이전춘(꽃 화, 떨어질 락, 써 이, 앞 전, 봄 춘) '산세 깊은 곳에 절이 있고, 꽃이 떨어

nmd-pws.tistory.com

* 앞 전() & 산심연후사 화락이전춘 참고

 

활용 산우야명죽 초충추입상 (雨夜鳴竹 草蟲秋入床, 뫼 산, 비 우, 밤 야, 울 명, 대 죽, 풀 초, 벌레 충, 가을 추, 들 입, 평상 상 : 산 비는 밤 대나무를 울리고, 풀벌레는 가을 평상에 오름)

 

 

산우야명죽 초충추입상(山雨夜鳴竹 草蟲秋入床) ‘산 비는 밤에 대나무를 울리고, 풀벌레는 가

#1 산우야명죽 초충추입상 #2 山雨夜鳴竹 草蟲秋入床 산우야명죽(뫼 산, 비 우, 밤 야, 울 명, 대 죽) 초충추입상(풀 초, 벌레 충, 가을 추, 들 입, 평상 상) ‘산속 빗줄기는 밤새 대숲을 울리고 풀

nmd-pws.tistory.com

* 벌레 충() & 산우야명죽 초충추입상 참고

활용 심청사백수 언중학청산 (心淸師白水 言重學靑, 마음 심, 맑을 청, 스승 사, 흰 백, 물 수, 말씀 언, 무거울 중, 배울 학, 푸를 청, 뫼 산 : 마음의 맑음은 흰 물을 스승 삼고, 말의 신중함은 푸른산을 배움)

 

 

심청사백수 언중학청산(心淸師白水 言重學靑山) ‘마음의 맑음은 흰 물을 스승 삼고, 말의 신중

#1 심청사백수 언중학청산 #2 心淸師白水 言重學靑山 (마음 심, 맑을 청, 스승 사, 흰 백, 물 수, 말씀 언, 무거울 중, 배울 학, 푸를 청, 뫼 산) ‘마음의 맑음은 하얀 물을 스승으로 삼고, 말의

nmd-pws.tistory.com

* 흰 백() & 심청사백수 언중학청산 참고

 

#4 지자요수 인자요산

논어(論語) 옹야편 제23장에 나오는 말이다.

 

子曰 知者樂水 仁者樂山

(자왈 지자요수 인자요산)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지자(지혜로운 사람)는 물을 좋아하고

인자(어진 사람)는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왜 물을 좋아하는가?

흐르는 물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바로 막힘 없이 흘러간다는 것이다.

지혜로운 자는 막힘이 없기를 원하며

시공에 따라 유동적으로 지혜롭게 행동하길 원하여 물을 좋아한다.

 

어진 사람은 왜 산을 좋아하는가?

우뚝 선 산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변함 없이 그 자리에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어진 자는 이해득실을 떠나 변함이 없기를 원하며

온갖 것들을 받아들이고 만물과 같이 하기를 원하여 산을 좋아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