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고사하다의 뜻
#2 固辭
(굳을 고, 말씀 사)
‘(제의, 권유 등을) 굳이 사양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굳을 고(固)
굳을(FIRM) 고 (4급 해당)
固자의 부수는 큰입구몸(囗)이다. 옛 고(古)*자와 囗의 결합으로 울타리, 성벽(囗) 안에서만 교류없이 오래도록(古) 살아온 민족은 그 풍습이 굳어져서(固) 변하기 쉽지 않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동서고금(東西古今)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
#1 동서고금 뜻 #2 東西古今 (동녘 동, 서녘 서, 옛 고, 이제 금)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옛 고(古) 옛(old) 고 (5급 해당) 古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입 구(口)자이다
nmd-pws.tistory.com
* 옛 고(古) & 동서고금(東西古今) 참고
활용 ① 고집불통 (固執不通, 굳을 고, 잡을 집, 아니 불, 통할 통 : 고집이 세 융통성이 없음)
활용 ② 심근고저 (深根固柢, 깊을 심, 뿌리 근, 굳을 고, 뿌리 저 : 뿌리가 깊어 움직이지 않음)
#4 고사하다의 뜻
‘고사하다’에서 어떤 한자를 쓰느냐에 따라
그 뜻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우선, ‘고사(固辭)하다’는
굳을 고, 말씀 사 자를 써서
(제의 등을) 굳이 사양하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다음으로 ‘고사(枯死)하다’는
마를 고, 죽을 사 자를 써서
(식물 등이) 말라 죽는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고사(叩謝)하다’는
두드릴 고, 사례할 사 자를 써서
머리를 조아려 고마움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동궤서동문(車同軌書同文) ‘(천하의 온)수레가 바퀴의 폭이 같고, (천하의 온) 문서의 글자가 같음’, ‘통일된 천하’를 비유하는 말 (0) | 2022.07.24 |
---|---|
경거망동(輕擧妄動) ‘가볍게 움직이고 망령되게 행동함’ & 경거망동 뜻 (0) | 2022.07.23 |
동서고금(東西古今)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 (0) | 2022.07.23 |
심사숙고(深思熟考) ‘깊이 곰곰이 잘 생각함’ (0) | 2022.07.23 |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독목교원가조_獨木橋寃家遭) ‘원수는외나무다리에서만난다는 속담의 한역’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