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동서고금 뜻
#2 東西古今
(동녘 동, 서녘 서, 옛 고, 이제 금)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옛 고(古)
옛(old) 고 (5급 해당)
古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입 구(口)자이다. 입 구(口) + 열 십(十)자의 결합으로 10(十)세대(口)를 거치면 옛날(古)이라 칭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산색고금동 (山色古今同, 뫼 산, 색 색, 옛 고, 이제 금, 같을 동 : 산의 색깔은 예나 지금이나 같음)
* 인심조석변 산색고금동 참고
활용 ② 법고창신 (法古創新, 법 법, 옛 고, 비롯할 창, 새 신 : 옛 것을 본받아 새 것을 창조함)
* 법고창신 참고
활용 ③ 만고불변 (萬古不變, 일만 만, 옛 고, 아닐 불, 변할 변 : 오랜 세월 동안 변하지 않음)
활용 ④ 고희 (古稀, 옛 고, 드물 희 :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유래한 말로, 일흔까지 산다는 것은 예로부터 드문일이다라는 뜻, 70세를 지칭)
* 지천명, 이순, 종심, 고희 등 나이를 지칭하는 말 참고
#4 동서고금 뜻
우리는 ‘동서고금(東西古今)을 막론(莫論)하고’
라는 말을 자주 쓴다.
이 때, 동서고금이란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이라는 뜻으로
시간적 공간적으로 사람이 살아온
모든 시대, 장소를 일컫는 말이다.
한편 ‘막론(莫論)하다’라는 말은
가리지 않고 말하다, 논하다라는 의미인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다’라는 것은
사람이 사는 곳에서 언제나 통하는 법칙 따위를 말한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거망동(輕擧妄動) ‘가볍게 움직이고 망령되게 행동함’ & 경거망동 뜻 (0) | 2022.07.23 |
---|---|
固辭(고사) ‘(제의나 권유 등을)굳이 사양하다’ & 고사하다의 뜻, 고사하다 뜻 (0) | 2022.07.23 |
심사숙고(深思熟考) ‘깊이 곰곰이 잘 생각함’ (0) | 2022.07.23 |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독목교원가조_獨木橋寃家遭) ‘원수는외나무다리에서만난다는 속담의 한역’ (0) | 2022.07.23 |
행유부득반구저기(行有不得反求諸己) ‘행하여 얻는 얻는 바가 없거든 오히려 자신을 돌아보고 원인을 찾는다’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