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강산풍월주인
#2 江山風月主人
(강 강, 뫼 산, 바람 풍, 달 월, 임금 주, 사람 인)
‘강과 산, 바람과 달을 차지한 주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강 강(江)
강 (river) 강 (7급 해당)
江자의 부수는 물 수(水)*자의 부수 변형인 삼수변(水 = 氵)이다. 물 수(水 = 氵) + 장인 공(工)의 형태이다. 물(水=氵)줄기가 범람 하지 않도록 장인(工)들이 모여 둑을 쌓아야 되는 정도의 규모의 물은 바로 강(江)이다라고 기억해두자.
* 물 수(水) & 상선약수(上善若水) 참고
활용 ① 만고강산 (萬古江山, 일만 만, 옛 고, 강 강, 뫼 산 : 오랜 세월 동안 변함이 없는 강과 산)
활용 ② 수우적강남 (隨友適江南, 따를 수, 벗 우, 맞을 적, 강 강, 남녘 남 : 따를 수, 벗 우, 맞을 적, 강 강, 남녘 남)
* 남녘 남(南) & 수우적강남 참고
활용 ③ 금수강산 (錦繡江山, 비단 금, 수놓을 수, 강 강, 뫼 산 : 비단을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강산)
#4 강산풍월주인
강과 산
그리고 바람과 달은 주인이 없다.
그 누구의 소유물도 아니기에
그 어떤이의 소유물도 될 수 있는 것이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0) | 2022.11.22 |
---|---|
이면공작(裏面工作) ‘(드러나지 않게) 뒤에서 일을 꾸밈’ , 정치공작 (0) | 2022.11.18 |
인간사 새옹지마(人間事 塞翁之馬) ‘인생은 변방 늙은이의 말과 같다 &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힘듦’ (1) | 2022.10.03 |
대동소이(大同小異) ‘크게 같고 작게 다름’ & 대동소이 뜻과 유래 (0) | 2022.09.15 |
선즉제인(先則制人) ‘먼저 하면 상대를 제압할 수 있다’ & 선즉제인 뜻과 유래 (0) | 202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