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즉제인
#2 先則制人
(먼저 선, 곧 즉, 억제할 제, 사람 인)
‘먼저하면(선수를 치면) 상대를 제압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사람 인(人)
사람 (person) 인 (8급 해당)
人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사람 인(人)자가 다른 글자의 좌측에서 부수로 쓰일 때는 사림인변(亻)의 형태로 변하게 된다.
활용 ① 의인물사 (疑人勿使, 의심할 의, 사람 인, 말 물, 하여금 사 : 의심스러운 사람은 부리지 말라)
* 부릴 사(使) & 의인물사사인물의 참고
활용 ② 촌철살인 (寸鐵殺人, 마디 촌, 쇠 철, 죽일 살, 사람 인 : 한 치 칼로 사람을 죽임)
활용 ③ 미망인 (未亡人, 아닐 미, 망할 망, 사람 인 : 남편을 여읜 여인)
활용 ④ 진인사대천명 (盡人事待天命, 다할 진, 사람 인, 일 사, 기다릴 대, 하늘 천, 목숨 명 : 사람의 할 일을 하고 하늘의 명을 기다림)
* 기다릴 대(待) & 진인사대천명(笑門萬福來) 참고
활용 ⑤ 삼인행필유아사 (三人行必有我師, 석 삼, 사람 인, 다닐 행, 반드시 필, 있을 유, 나 아, 스승 사 : 3명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음)
* 먼저 선(先) &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 참고
활용 ⑥ 호사유피인사유명 (虎死留皮人死留名, 범 호, 죽을 사, 머무를 류, 가죽 피, 사람 인, 죽을 사, 머무를 류, 이름 명 : 범은 죽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김)
* 죽을 사(死) & 호사유피인사유명 참고
활용 ⑦ 이인동심기리단금 (二人同心其利斷金, 두 이, 사람 인, 한가지 동, 마음 심, 그 기, 이로울 리, 끊을 단, 쇠 금 : 두 사람이 같은 마음이면 그 날카로움이 쇠라도 끊을 수 있음)
* 그 기(其) & 이인동심기리단금 동심지언기취여란 참고
#4 선즉제인 뜻과 유래
선즉제인(先則制人)이란
(남보다) 먼저 행하면
남을 제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본래 '선즉제인 후즉위인소제(先則制人 後則爲人所制)'라는
말로 기록된 것을 선즉제인(先則制人)으로 흔히 줄여서 쓴다.
선즉제인이라는 말이 나오는 원문은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인데 해당 원문을
짧게 발췌하여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吾聞先則制人 後則爲人所制
(오문선즉제인 후즉위인소제)
내가 듣기로, 선수를 치면 남을 제압하고
후에 하면 남에게 제압당한다 했소이다
오욕발병 사공급환초장
(吾欲發兵 使公及桓楚將)
나는 군사를 일으키려하는바
그대(=항량)와 환초장군을 시키려 하오.
해당 대사가 나오는 대략적인 스토리를
짧게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진나라 말기 천하가 어지러운 시절
항량(항우의 삼촌)이라는 자가 살인을 저지르고
조카인 항우와 함께 오나라로 도망을 왔다.
진시황이 죽은 시기었으므로
각지에서 세력을 모으려는 자들이 많았고,
그 중 회계태수인 은통이라는 자도 있었다.
항량과 항우는 은통이 군사를 모으도록 부추겼고
결국 은통은 대규모 군사를 모으고 "선즉제인" 할 것을항량에게 제안하게 된 것이다.
항량은 그 말을 듣자 계책을 세워,
항우를 시켜 회계태수인 은통을 목베게한다.
결국, 항량의 후원과 더불어 대규모 군사를 얻은 항우는
후에 유방과 천하를 다투는 영웅으로 우뚝선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사 새옹지마(人間事 塞翁之馬) ‘인생은 변방 늙은이의 말과 같다 &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힘듦’ (1) | 2022.10.03 |
---|---|
대동소이(大同小異) ‘크게 같고 작게 다름’ & 대동소이 뜻과 유래 (0) | 2022.09.15 |
난형난제(難兄難弟) ‘(누구를) 형이라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려움’ & 난위형난위제 (0) | 2022.09.14 |
형제투금(兄弟投金) ‘형제가 금을 (강에) 던짐’ (0) | 2022.09.13 |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는 같다’ & 군사부일체 뜻과 어원 (1)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