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강장하무약병
#2 强將下無弱兵
강장하무약병(강할 강,장수 장,아래 하,없을 무,약할 약,병사 병)
‘강한 장수 아래 약한 병사는 없다’
#3 상용한자1800자 쪼개기_병사 병(兵)
병사(soldier)병(6급 해당)
兵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여덟 팔(八)이다.언덕 구(丘)자와 여덟 팔(八)자가 결합한 형태로 보아 언덕(丘)아래에서 팔(八)진법(제갈량이 사용했다고 전해지는 진법)을 펼치고 전투를 준비하는 병사(兵)들의 모습을 상상해보자.
활용① 부국강병(富國强兵,부유할 부,나라 국,강할 강,병사 병:부유한 나라와 강한 병사)
활용② 승패병가지상사(勝敗兵家之常事,이길 승,패할 패,병사 병,집 가,갈 지,떳떳할 상,일 사:이기고 지는 것은 병가의 늘 있는 일)
#4강장하무약병
강한 장수 아래에 약한 병사는 없다.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중국 송나라 때의 문인 소식(蘇軾)이 저술한
제연공벽(題連公壁)에서 전하는 말이다.
강한 장수가 강하게 다스리는 군대는
백전백승의 군대일진대 과연 그런가?
이 시대의 강장(强將),즉 강한 장수는
힘으로 아랫사람을 무조건 끌고 가는 리더가 아니라
아랫사람이 약한 병사(弱兵)가 아닌 강한 병사(强兵)가
될 수 있도록 잘 이끌어주는 장수의 모습이 아닐까?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인전(偉人傳) ‘위대한 사람의 일생의 업적 등을 사실에 입각해 적은 글’ (0) | 2023.09.02 |
---|---|
사농공상(士農工商) ‘선비, 농부, 공장, 상인의 4가지 봉건시대의 계급’ (7) | 2023.09.02 |
독불장군(獨不將軍) ‘혼자서는 장군이 될 수 없음’ & 독불장군 뜻 (1) | 2023.06.18 |
일부당관 만부막개(一夫當關萬夫莫開) ‘한 사람이 관문을 지키면 만 사람이 와도 열 수 없음’ & 이백 촉도난 (2) | 2023.06.16 |
박혁거세(朴赫居世) ‘신라의 시조(始祖)’ & 박혁거세 알 (1) | 202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