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독불장군
#2 獨不將軍
독불장군(홀로 독, 아니 불, 장수 장, 군사 군)
‘혼자서는 장군을 못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홀로 독(獨)
홀로 (alone) 독 (6급 해당)
獨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犭(개사슴록변)이다. 犬(개 견)자가 글자 좌측에서 부수로 변형하면 犭의 형태로 바뀌고 그 부수를 칭하기를 ‘개사슴록변’이라 칭한다. 獨(홀로 독)자는 犭(개사슴록변) + 蜀(애벌레 촉)자의 결합으로 개(犭) 여러 마리가 애벌레(蜀)를 서로 먹으려고 싸우려하기에 각각 홀로(獨) 띄어 두었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유아독존 (唯我獨尊, 오직 유, 나 아, 홀로 독, 높을 존 : 오직 내가 홀로 존귀하다)
* 윗 상(上) & 천상천하유아독존 참고
활용 ② 독수공방 (獨守空房, 홀로 독, 지킬 수, 빌 공, 방 방 : 홀로 빈 방에서 잠)
#4 독불장군 뜻
독불장군 뜻
독불장군(獨不將軍)이란
한자 그대로 홀로 장군이 될 수 없다는 의미이다.
장군 노릇을 하려면 휘하에 부하가 있어야 하거늘
혼자이면 장군이 될 수 없다는 뜻이다.
흔히 독불장군(獨不將軍)이라 표현하면
어떤 일을 하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구하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처리하는 고집 센 사람을 뜻하여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5 한자교육의 필요성 &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 앞으로 진행되는 상용한자 교육에 참고하기 바랍니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농공상(士農工商) ‘선비, 농부, 공장, 상인의 4가지 봉건시대의 계급’ (7) | 2023.09.02 |
---|---|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강한 장수 아래에는 약한 병사가 없다’ (0) | 2023.08.30 |
일부당관 만부막개(一夫當關萬夫莫開) ‘한 사람이 관문을 지키면 만 사람이 와도 열 수 없음’ & 이백 촉도난 (2) | 2023.06.16 |
박혁거세(朴赫居世) ‘신라의 시조(始祖)’ & 박혁거세 알 (1) | 2023.06.14 |
기하급수(幾何級數) ‘이전 항에 차례로 일정 값을 곱하여 만들어지는 수들을 차례로 배열한 수(등비급수)’ & 기하급수적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