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견지아조 호작자미
#2 堅持雅操 好爵自縻
견지아조 호작자미(굳을 견, 가질지, 맑을 아, 잡을 조, 좋을 호, 벼슬 작, 스스로 자, 고삐 미)
‘맑은(바른) 지조를 굳게 지니면 좋은 벼슬이 스스로 얽힘’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굳을 견
굳을 (hard) 견 (4급 해당)
堅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흙 토(土)자이다. 臣(신하 신) + 又(오른손 우) + 土(흙 토)자의 결합으로 보아 충직한 신하(臣)의 마음은 마치 오른 손(又)으로 단단한 흙(土)을 꼭 잡고 있는 것처럼 굳은(堅) 마음이다라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견실 (堅實, 굳을 견, 열매 실 : 확실하고 틀림 없음, 심성 등이 미더움)
활용 ② 중견 (中堅, 가운데 중, 굳을 견 : 어떤 단체나 사회에서 중심이 되는 사람)
#4 견지아조 호작자미
아조(雅操)란 고아한 지조를 말한다.
고아한 지조를 견지(堅持)한다는 것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아름답고 굳은
절개를 지켜나가는 것이다.
그러하면 좋은 벼슬이 스스로 나에게
얽어 매이게 된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신 경신(更新) ‘다시 고침/옛 것을 고쳐 새롭게 함’ & 갱신, 경신 차이 (1) | 2023.11.13 |
---|---|
경천동지(驚天動地) ‘하늘을 놀라게 하고 땅을 움직이게 함’ & 경천동지 뜻 (0) | 2023.11.13 |
자격지심(自激之心) ‘스스로 한 일에 대해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 & 자격지심 뜻 (0) | 2023.11.04 |
고복격양(鼓腹擊壤) ‘배를 두드리고 흙덩이를 침’ (1) | 2023.11.03 |
근검절약(勤儉節約) ‘부지런하고 검소하게 재물을 아낌’ (1)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