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권모술수 뜻
#2 權謀術數
(권세 권, 꾀 모, 재주 술, 셈 수)
‘권세, 중상모략 등 갖가지 방법과 수단을 동원하는 술책’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셈 수(數)
셈 (counting, calculation) 수 (7급 해당)
數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칠 복(=등글월문, 攴=攵)자이다. 글자 모양이 다소 복잡해 보이니 의미를 간단히 만들어 두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하자. 여자(女)의 머리 위로 거듭 쌓아올린 소쿠리의 개수를 막대기(攵)로 가리키며 하나 둘 센다(數)는 의미로 기억해두자. 추가로 셈 수(數)자는 ‘자주 삭’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 셈 산(算) & 신기묘산 참고
활용 ① 여조삭비 (如鳥數飛, 같을 여, 새 조, 셈 수/자주 삭, 날 비 : 새가 자주 날갯짓을 하는 것과 같음)
활용 ② 부지기수 (不知其數, 아니 불, 알지, 그 기, 셈 수 : (너무 많아) 그 수를 알지 못함)
#4 권모술수 뜻
권모술수 뜻
권모술수(權謀術數)란
한자 그대로 권세 권, 꾀 모, 재주 술, 셈 수 자를 써서
‘권력, 꾀 등 갖가지 방법을 동원한 술책’이라는 의미이다.
흔히 자신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온갖 방법을 동원한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꾀나 방법을 뜻하는 계책(計策)이라는 말도 있으나
음모(陰謀), 모략(謀略)에서와 같이
꾀하다는 뜻의 꾀 모(謨)자를 써서
'남을 속이는' 데에 초점을 두고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 ‘날씨가 추운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앎’ &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야 논어 (0) | 2023.01.25 |
---|---|
어불성설(語不成說) ‘말이 (이치에 맞지 않아) 말이 되지 않음’ & 어불성설 뜻 (0) | 2023.01.24 |
무소불위(無所不爲) ‘하지 못하는 바가 없음’ & 무소불위 뜻, 무소불위 한자 (0) | 2023.01.23 |
소장파(少壯派) ‘단체 내에서 비교적 젊고 의기 왕성한 사람들이 모여 이룬 파’ & 소장파 뜻 (1) | 2023.01.19 |
일벌백계(復命復唱)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하게 함’ & 일벌백계 뜻 (1)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