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소불위 뜻
#2 無所不爲
(없을 무, 바 소, 아닐 불, 할 위)
‘하지 못하는 바가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바 소(所)
바 (a way, a thing, what) 소 (7급 해당)
所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집 호(戶)자이다. 戶(집 호) + 도끼 근(斤)**의 결합으로 집에 도끼를 놓아두던 장소라는 의미로 기억해두자. 참고로 바 소(所)자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데 ‘~하는 바’라고 표현할 때 쓰여 어떠한 일의 방법이나 방도를 뜻하기도 하고, 어떠한 것, 어떠한 물체, 어떠한 지역 등을 뜻하는 의존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 의존명사 ‘바’의 활용 예시
- 당신이 원하는 ‘바’를 내게 말해 보시오.
- 도무지 어찌할 '바'를 몰라 손을 쓸 수 없었다.
한 근(斤) 한 근은 몇 그램일까? ‘한 근은 600g, 즉 0.6kg’
#1 한 근은 몇 그램일까? #2 한 근(斤) 근(斤)은 중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한 근은 600g, 즉 0.6kg 두 근은 1200g, 즉 1.2kg 세 근은 1800g, 즉 1.8kg 를 의미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도끼 근(斤) 도끼(ax,
nmd-pws.tistory.com
** 도끼 근(斤) & 한 근(600g) 참고
활용 ① 적재적소 (適材適所, 맞을 적, 재목 재, 맞을 적, 바 소 : (어떤 일에) 적절한 재능에 적절한 지위)
적재적소(適材適所) ‘적당한 (재능을 갖춘) 인재를 적합한 자리에 쓰다’
#1 적재적소 #2 適材適所 적재적소(맞을 적, 재목 재, 맞을 적, 바 소) ‘적당한 재능을 가진 인재를 그에 적합한 자리에 쓰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재물 재(財) 재목(wood) 재 (4급 해당) 材자
nmd-pws.tistory.com
* 재물 재(財) & 적재적소(適材適所) 참고
활용 ② 각득기소 (各得其所, 각각 각, 얻을 득, 그 기, 바 소 : 모든 것은 각각이 있어야 할 곳에 그 자리를 잡음)
각득기소(各得其所 ) '저마다 그 있어야 할 곳을 얻다'
#1 각득기소_저마다 있어야 할 곳 #2 各得其所 각득기소(각각 각, 얻을 득, 그 기, 바 소) '저마다 그 있어야 할 곳을 얻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각각 각(各) 各에서 부수는 입 구(口) 자이다
nmd-pws.tistory.com
* 각각 각(各) & 각득기소(各得其所) 참고
#4 무소불위 뜻과 한자
무소불위 뜻
무소불위(無所不爲)란
한자 그대로 없을 무, 바 소, 아니 불, 할 위 자를 써서
‘하지 못하는 바가 없다.’라는 의미이다.
흔히 매스컴에서는
‘무소불위의 권력’이라고 지칭하며
원하는 어떠한 일이라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달리 말하면, 권력을 마구 휘두를 수 있는 상황에서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티스토리 블로그 작업물을 기반으로 전자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어문회 8급 배정한자부터 2급배정한자(대학생 교양 수준)까지 한자 낱 글자 하나하나를 그 어원과 생성원리를 함께 고민해
nmd-pws.tistory.com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불성설(語不成說) ‘말이 (이치에 맞지 않아) 말이 되지 않음’ & 어불성설 뜻 (0) | 2023.01.24 |
---|---|
권모술수(權謀術數) ‘권세와 모략 등 갖은 방법과 수단을 동원하는 술책’ & 권모술수 뜻 (0) | 2023.01.23 |
소장파(少壯派) ‘단체 내에서 비교적 젊고 의기 왕성한 사람들이 모여 이룬 파’ & 소장파 뜻 (1) | 2023.01.19 |
일벌백계(復命復唱)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하게 함’ & 일벌백계 뜻 (1) | 2023.01.16 |
복명복창(復命復唱) ‘명 받은 바를 (그 자리에서) 되풀이하여 말함’ & 복명복창 뜻과 한자 (2)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