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어불성설 뜻
#2 語不成說
(말씀 어, 아닐 불, 이룰 성, 말씀 설)
‘말이 (이치에 맞지 않아) 말을 이루지 못함, 말이 되지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말씀 어(語)
말씀 (talk, words) 어 (7급 해당)
語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말씀 언(言)*자이다. 言(말씀 언) + 吾(나 오) 자의 결합으로 말(言)은 말인데 혼잣말이 아닌 나(吾)와 상대방이 나누는 말이다라고 기억해두자.
* 말씀 언(言) & 언어도단(言語道斷) 참고
활용 ① 유언비어 (流言蜚語, 흐를 류, 말씀 언, 바퀴 비, 말씀 어 : 근거없이 흘러다니고 날아다니는 말)
활용 ② 해어화 (解語花, 풀 해, 말씀 어, 꽃 화 : 말을 해석할 줄 아는 꽃, 미인을 가리킴)
#4 어불성설 뜻
어불성설 뜻
어불성설(語不成說)이란
한자 그대로 말씀 어, 아닐 불, 이룰 성, 말씀 설자를 써서
‘말이 말을 이루지 못함’이라는 의미이다.
말이 왜 말을 이루지 못하는가?
이치 또는 사리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치 또는 사리란 무엇인가?
‘정당하고 당연한 도리’를 말한다.
우리는 누군가가 말이 되지 않는 소리를 할 때,
헛소리, 개똥 같은 소리 등의 표현을 쓰는데
어불성설(語不成說) 역시 헛소리, 개똥 같은 소리에 해당한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유친(父子有親)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음(있어야 함)’ & 부자유친 뜻, 삼강오륜 (2) | 2023.01.25 |
---|---|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 ‘날씨가 추운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앎’ &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야 논어 (0) | 2023.01.25 |
권모술수(權謀術數) ‘권세와 모략 등 갖은 방법과 수단을 동원하는 술책’ & 권모술수 뜻 (0) | 2023.01.23 |
무소불위(無所不爲) ‘하지 못하는 바가 없음’ & 무소불위 뜻, 무소불위 한자 (0) | 2023.01.23 |
소장파(少壯派) ‘단체 내에서 비교적 젊고 의기 왕성한 사람들이 모여 이룬 파’ & 소장파 뜻 (1)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