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강산도 식후경 뜻

#2 金剛山도 食後景
(쇠금, 굳셀 강, 뫼 산, 먹을 식, 뒤 후, 경치 경)
‘금강산(을 구경하려해도)도 먹은 후에야 경치가 보인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볕/경치 경(景)
볕/경치(sunshine/view) 경 (4급 해당)
景자의 부수는 글자 상단의 해 일(日)자이다. 해 일(日)자와 서울 경(京)*자의 결합으로 해가(日) 서울(京) 땅을 따뜻하게 내려쬐자 그 경치(景)가 아주 끝내준다라고 기억해두자.
일경(一京) '10,000,000,000,000,000, 억의 1억 배, 조의 1만 배' & 일십백천만억조경해자양구간정재극
#1 京, 조(兆)의 만배 #2 일십백천만억조경해자양구간정재극 一十百千萬億兆京垓秭穰...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서울 경(京) 서울(seoul) 경 (5급 해당) 京자의 부수는 글자 위의 돼지해머리 두(亠
nmd-pws.tistory.com
* 서울 경(京) / 일경(一京) 참고
활용 ① 만추가경 (晩秋佳景, 늦을 만, 가을 추, 아름다울 가, 볕 경 : 늦가을 아름다운 경치)
활용 ② 선정후경 (先情後景, 먼저 선, 뜻 정, 뒤 후, 볕 경 : 작시의 방법으로 정서적인 부분을 제시한 후 경치에 관한 묘사를 보임)
활용 ③ 선경후사 (先景後事, 먼저 선, 볕 경, 뒤 후, 일 사 : 먼저 경치를 묘사하고 후에 일을 묘사함)
활용 ④ 선경후정 (先景後情, 먼저 선, 뜻 정, 뒤 후, 볕 경 : 작시의 방법으로 경치 묘사를 먼저한 후 정서적 부분을 보여줌)
활용 ⑤ 관동팔경 (關東八景, 관계할 관, 동녘 동, 여덟 팔, 경치 경 : 관동의 빼어난 8가지 경치)
#4 금강산도 식후경
금강산은 강원도 금강군, 고성군, 통천군에 걸치며
일부 지역은 강원도 인제군까지 걸쳐있는 산으로
예로부터 그 경치가 빼어나기로 유명하였다.
선조 때 정철은 관동별곡(關東別曲)에서
금강산 일대의 절경(絶景)을 노래한 바 있다.
또한 계절에 따른 별칭이 존재하는데
여름에는 봉래산(蓬萊山)이라 불리고
가을에는 풍악산(楓嶽山),
겨울에는 개골산(皆骨山)이라 불린다.
우리는 흔히 배가 매우 고픈 상황에서는
아무리 재미있는 일이 있더라도
흥미가 생기지 않는 상황을 비유하여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표현을 쓴다.
금강산과 같이 아름다운 절경이 눈앞에
펼쳐져 있다고 하더라도
배가 고픈 상황에서 그 경치가 무슨 소용이랴.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승(健勝) ‘탈없이 건강함’ & 건승을 기원합니다 (0) | 2022.07.24 |
---|---|
조건명제(條件命題) ‘어떠한 조건하에서 어떤 상황이 성립함을 일컫는 명제’ (0) | 2022.07.24 |
척벽비보 촌음시경(尺璧非寶寸陰是競) ‘한 자의 구슬이 보배는 아니니 짧은 시간도 다투어 귀이 여겨야한다 ’ (0) | 2022.07.24 |
거동궤서동문(車同軌書同文) ‘(천하의 온)수레가 바퀴의 폭이 같고, (천하의 온) 문서의 글자가 같음’, ‘통일된 천하’를 비유하는 말 (0) | 2022.07.24 |
경거망동(輕擧妄動) ‘가볍게 움직이고 망령되게 행동함’ & 경거망동 뜻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