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요지마력 일구견인심
#2 路遙知馬力 日久見人心
(길 로, 멀 요, 알 지, 말 마, 힘 력, 날 일, 오랠 구, 볼 견, 사람 인, 마음 심)
‘길이 멀면 말의 힘을 알고, 세월이 오래 지나면 사람의 마음을 본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힘 력(力)
힘 (power) 력 (7급 해당)
力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옛날 농사일 중에서 밭을 갈 때 쓰는 밭갈이용 농기구를 형상화한 글자라고 한다. 밭가는 농기구로 생각을 해도 되고, 허리를 숙이고 힘을 써서 밭을 갈고 있는 농부의 모습을 상상해도 좋다.
활용 ① 전력투구 (全力投球, 온전할 전, 힘 력, 던질 투, 공 구 : 온 힘을 다하여 공을 던짐, 어떤 일을 함에 있어서 모든 힘을 다 기울임)
활용 ② 역발산기개세 (力拔山氣蓋世, 힘 력, 뽑을 발, 뫼 산, 기운 기, 덮을 개, 인간 세 : 힘은 산을 뽑고 기운은 세상을 덮음)
* 기운 기(氣) &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 참고
#4 노요지마력 일구견인심
노요지마력 일구견인심(路遙知馬力 日久見人心)
먼 길을 말을 타고 가보아야만 말의 힘을 알 수 있고
오랜 세월을 함께 지내보아야 그 사람의 참된 마음을 알 수 있다.
송나라 진원정의 사림광기(事林廣記)에 나오는 말이다.
천리를 달려보지 않고서 어찌 그 말이 천리마인지 알겠으며,
오랜세월 함께하지 않고서 어찌 그 사람의 참된 마음을 알겠는가.
두 사람의 우정이 돈독하려면
서로 마음이 통하는 정도와 함께
지내온 세월이 모두 필요하다.
그 정도가 크고 그 기간이 길수록
그윽하게 천리를 간다는 난초향과 같은 관계가 될 것이다.
마음이 통했다고 하여
처음 만난 이에게 쉽게 마음을 주지 말며
오랜세월 함께했다고 하여
마음이 서로 맞는다고 착각하지말라.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족이기성명(書足以記姓名) ‘글은 성과 이름만 기록하면 족하다’ (2) | 2022.11.25 |
---|---|
불립문자(不立文字) ‘말과 글을 세우지 않는다’ (0) | 2022.11.24 |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0) | 2022.11.22 |
이면공작(裏面工作) ‘(드러나지 않게) 뒤에서 일을 꾸밈’ , 정치공작 (0) | 2022.11.18 |
강산풍월주인(江山風月主人) ‘강산과 풍월을 차지한 주인’ (1)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