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물유본말 사유종시

#2 物有本末 事有終始
물유본말(물건 물, 있을 유, 근본 본, 끝 말)
사유종시(일 사, 있을 유, 마칠 종, 비로소 시)
‘사물에는 근본과 끝이 있으며,
일에는 처음과 끝이 있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근본 본(本)
근본(root, basis) 본 (5급 해당)
本 자의 부수는 나무 목(木)이다. 나무 목(木)자와 하나 일(一)자의 결합이 근본 본(本)이다. 나무에 점을 하나 찍어 나무의 뿌리가 근본이다라는 뜻으로 글자가 형성되었다.
활용 ① 본말전도 (本末顚倒, 근본 본, 끝 말, 엎드러질 전, 넘어질 도 : 일의 처음과 나중이 뒤바뀜.)
활용 ② 수신제가, 치국지본 (修身齊家, 治國之本, 닦을 수, 몸 신, 가지런할 제, 집 가, 다스릴 치, 나라 국, 갈지, 근본 본 : 자신을 닦고 집안을 다스리는 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것의 근본이다.)
활용 ③ 발본색원 (拔本塞源, 뽑을 발, 근본 본, 막힐 색, 근원 원 : 근본을 뽑아내고 원천을 막아버림.)
활용 ④ 동성동본 (同姓同本, 한가지 동, 성씨 성, 근본 본 : 같은 성씨를 쓰고 본도 같음.)
#4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
대학(大學) 구절 중 일부를 인용한다.
물유본말(物有本末)
사유종시(事有終始)
만물에는 본말이 있고
일에는 시종이 있으니
지소선후(知所先後)
즉근도의(則近道矣).
먼저 할 일과 나중 할 일을
가릴 줄 알면 도에 가깝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년지병구삼년지애(七年之病求三年之艾) ‘칠년 된 병에 삼년 된 쑥’ (0) | 2022.01.03 |
---|---|
기복염거(驥服鹽車) ‘천리마가 소금 수레를 끈다’ (0) | 2022.01.03 |
의인물사 사인물의(疑人勿使 使人勿疑) ‘의심스러운 사람은 부리지 말고, 일단 사람을 부리면 의심하지 말라’ (0) | 2022.01.02 |
청백리(淸白吏) '청렴하고 결백한 관리' (0) | 2022.01.02 |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0) | 202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