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생사여탈 & 생사여탈권
#2 生死與奪 & 生死與奪權
(날 생, 죽을 사, 더불 여, 뺏을 탈, 권세 권)
‘(마음대로) 생사를 주거나 뺏을 수 있는 권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더불 여(與)
더불 (with/together) 여 (3급 해당)
與자의 부수는 절구 구(臼)자이다. 臼 + 与 + 一 + 八 등이 결합한 형태로 볼 수 있으나 무엇인가를 두 사람이 양 손으로 더불어서 함께 잡고 있는 형태로 생각하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하자. 참고로 더불어(with)의 의미뿐만 아니라 ‘주다(give)’의 의미도 포함한다.
활용 ① 조수불가여동군 (鳥獸不可與同群, 새 조, 짐승 수, 아닐 부, 옳을 가, 더불 여, 한가지 동, 무리 군 : 새와 짐승과는 함께 더불어 살 수 없음)
활용 ② 여민동락 (與民同樂, 더불 여, 백성 민, 한가지 동, 즐길 락 : 백성과 더불어 함께 즐김)
활용 ③ 풍취각여 (豊取刻與, 풍년 풍, 가질 취, 새길 각, 더불 여 : 많이 갖고도 조금 줌)
#4 생사여탈 & 생사여탈권
생사여탈(生死與奪)이란
태어나고 죽는 생사를 주고 뺏는 것이다.
따라서 생사여탈권(生死與奪權)이란
사람 목숨을 죽이고 살릴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최근 초등학생 아들 2명의 목을 졸라
숨지게 한 뒤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부모가 자수한 사건이 있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재판부가 판결을 내린바를 인용한다.
“인간은 태어난 순간 이미 독립된 인격체이고
부모자차 생사여탈권(生死與奪權)을 가질 수 없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두절미(去頭截尾) ‘머리와 꼬리를 잘라 버림’ & 거두절미 유래와 뜻 (0) | 2022.07.25 |
---|---|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 ‘손 한 번 들고 발 한번 옮김, 사소한 하나하나의 모든 동작’ 일거수일투족 뜻과 유래 (0) | 2022.07.25 |
건승(健勝) ‘탈없이 건강함’ & 건승을 기원합니다 (0) | 2022.07.24 |
조건명제(條件命題) ‘어떠한 조건하에서 어떤 상황이 성립함을 일컫는 명제’ (0) | 2022.07.24 |
금강산도 식후경(金剛山도 食後景이라) ‘금강산 관광을 가도 배를 채우는 것이 먼저’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