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거두절미 뜻과 유래

#2 去頭截尾
(갈 거, 머리 두, 끊을 절, 꼬리 미)
‘머리와 꼬리를 잘라버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갈 거(去)
갈 (go) 거 (4급 해당)
去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사사 사(厶)자이다. 흙 토(土) 자와 사사 사(厶)자의 결합으로 흙(土)을 밟고 내가(厶) 간다(去)는 정도로 간단히 기억해두자.
활용 ① 칠거지악 (七去之惡, 일곱 칠, 갈 거, 갈 지, 악할 악 : 유교에서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7가지 조건)
칠거지악(七去之惡) ‘조선시대 아내를 내쫓는 이유가 되는 일곱가지 허물’ 칠거지악 삼불거(
#1 칠거지악/ 칠거지악 삼불거 #2 七去之惡 / 七去之惡 三不去 칠거지악(일곱 칠, 갈 거, 갈 지, 악할 악) ‘일곱가지의 악한 행동’ 칠거지악 삼불거(석 삼, 아닐 불, 갈 거) ‘일곱가지의 행동을
nmd-pws.tistory.com
* 악할 악(與) & 칠거지악(生死與奪權) 참고
활용 ② 거자필반 (去者必返, 갈 거, 놈 자, 반드시 필, 돌이킬 반 : 헤어진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돌아옴)
회자정리 거자필반(會者定離 去者必返) ‘만난 사람은 헤어짐이 정해져 있고, 떠난 사람은 반드
#1 회자정리 거자필반 #2 會者定離 去者必返 회자정리(모일 회, 놈 자, 정할 정, 떠날 리) ‘만난 사람은 헤어짐이 정해져 있고’ 거자필반(갈 거, 놈 자, 반드시 필, 돌이킬 반) ‘가버린 사람은 반
nmd-pws.tistory.com
* 모일 회(與) & 회자정리거자필반(生死與奪權) 참고
활용 ③ 수거불부회 (水去不復回, 물 수, 갈 거, 아닐 부, 회복할 복, 돌아올 회 : 흘러간 물은 다시 돌아오지 않음)
수거불부회 언출난갱수(水去不復回 言出難更收) '흘러간 물은 돌아오지 않고, 나온 말은 다시
#1 한번 흘러간 물은 #2 수거불부회(水去不復回) 언출난갱수(言出難更收) 수거불부회(물 수, 갈 거, 아니 불, 다시 부, 돌아올 회) 언출난갱수(말씀 언, 나갈 출, 어려울 난, 다시 갱, 거둘 수) '물이
nmd-pws.tistory.com
* 돌아올 회(與) & 수거불부회언출난갱수(生死與奪權) 참고
활용 ④ 거자불추내자불거 (去者不追來者不拒, 갈 거, 놈 자, 아닐 부, 쫓을 추, 올 래, 막을 거 : 가는 사람 잡지 않고 오는 사람 물리치지 않음)
거자불추내자불거(去者不追 來者不拒) '가는 사람 잡지 말고 오는 사람 막지 말라.'
#1 가는 사람 잡지 않고 #2 去者不追 來者不拒 거자불추 내자불거(갈 거, 놈 자, 아니 불, 쫓을 추, 올 래, 놈 자, 아니 불, 막을 거) '가는 사람 잡지 않고, 오는 사람 막지 않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nmd-pws.tistory.com
* 올 래(來) & 거자불추내자불거(生死與奪權) 참고
활용 ⑤ 삼불거 (三不去, 석 삼, 아닐 부, 갈 거 : 칠거지악이 있는 아내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가지의 경우)
활용 ⑥ 공수래공수거 (空手來空手去, 빌 공, 손 수, 올 래, 갈 거 : 빈손으로 왔다 빈손으로 감)
#4 거두절미 유래
거두절미 뜻
거두절미(去頭截尾)란
머리와 꼬리를 잘라버린다는 뜻이다.
몸통을 핵심으로 본다면 머리와 꼬리를 잘라내면
핵심인 몸통만 남게된다.
따라서 거두절미란 부차적인 것은 제외하고
핵심적인 것만을 언급할 때 쓸 수 있다.
또는 앞과 뒤를 생략하고 본론으로 바로 들어갈 때 사용한다.
거두절미 유래
거두절미라는 말은
중국 진나라 진시황의 말에서 유래한다.
재상이었던 이사가 한비자의 법치주의 논리를 설명하려고하자
진시황이제가 ‘거두절미하고 본론만 말하라’라는 의미에서 사용했다고 한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가사유지불가사지지(民可使由之不可使知之) ‘백성을 따라오게끔 할 수는 있어도 그 이유를 알게 하기는 어려움’ (0) | 2022.07.26 |
---|---|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허물(잘못)이 있거든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0) | 2022.07.25 |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 ‘손 한 번 들고 발 한번 옮김, 사소한 하나하나의 모든 동작’ 일거수일투족 뜻과 유래 (0) | 2022.07.25 |
생사여탈권(生死與奪權) ‘죽이고 살릴 수 있는 권리’ (0) | 2022.07.24 |
건승(健勝) ‘탈없이 건강함’ & 건승을 기원합니다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