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2 樹欲靜而風不止
수욕정이풍부지(나무 수, 하고자할 욕, 고요할 정, 말 이을 이, 바람 풍, 아닐 불, 그칠 지)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음'
부모에게 효도하고 싶어도 부모가 세상에 계시지 않음'
유사한 의미로 수욕정이풍부지와 대구를 이루는
'자욕양이친부대'와
'풍수지탄', '풍목지비' 가 있다.
자욕양이친부대 '자식은 부모에 효도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1 자식은 효도하고자 하나, #2子欲養而親不待 자욕양이친부대(아들 자, 하고자할 욕, 기를 양, 말 이을 이, 친할 친, 아니 불, 기다릴 대) '자식은 봉양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리지 않는다.' #3 상
nmd-pws.tistory.com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바람 풍(風)
바람(wind) 풍 風 (5급 해당)
風 자 역시 글자 그대로 부수이다. 갑골문 상으로는 봉황의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이며, 굳이 글자를 쪼개어 보면, 무릇 범(凡)과 벌레 충(虫)의 결합으로 볼 수 있는바, 바람이 불면 무릇 벌레들이 바람에 딸려 온다고 생각해도 좋다.
활용 ① 돌풍 (突風, 갑자기 돌, 바람 풍 : 갑자기 일어나는 거센 바람.)
‘김민규, KPGA 10대 돌풍(突風)의 주역으로 떠오르다.’
활용 ② 소풍 (消風, 거닐 소, 바람 풍 : 바람을 쐼, 단체로 교외나 야외 등 먼 곳을 다녀오는 일.)
‘소풍(消風) 가기 전날 밤, 준비물을 챙기는 순간이 가장 설렌다.’
활용 ③ 세시풍속 (歲時風俗, 해 세, 때 시, 바람 풍, 풍속 속 : 예로부터 해마다 집단적으로 관례로 행해지는 고유의 행사, 풍속.)
‘정월대보름 세시풍속(歲時風俗) 전통 행사 개최’
활용 ④ 풍전등화 (風前燈火, 바람 풍, 앞 전, 등 등, 불 화 : 바람 앞의 등불.)
‘소비 급감, 유가 하락 등으로 석유 업계도 풍전등화(風前燈火)의 위기에 놓여있다.’
#4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한시외전에 나오는 풍수지탄의 내용을 소개한다.
樹欲靜而風不止
(수욕정이풍부지)
'나무는 고요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子欲養而親不待
(자욕양이친부대)
'자식은 효도하고자 하나,
부모는 기다리지 않는다.'
往而不可追者年也
(왕이불가추자년야)
'흘러가면 쫓아갈 수 없는
것이 세월이요'
去而不見者親也
(거이불견자친야)
'가시면 다시 볼 수 없는
것이 부모님이시네'
공자가 유랑하던 어느날,
나무 아래서 울고 있는 고어라는 사내를 만났다.
공자가 사내에게 우는 이유를 묻자
사내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저는 세 가지의 잘못을 저질렀습니다.
젊었을 때 세상을 돌아다니느라
부모님 곁에 함께하지 못한 것이 첫째요.
섬기던 군주가 사치를 좋아하고 충언을 듣지 않아
그로부터 도망쳐 온 것이 둘째요,
셋째는 친구와 부득이한 사정으로
교제를 끊어버린 것입니다.
고어라는 자는 이 말을 남기고
나무에 기대에 죽고 말았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티스토리 블로그 작업물을 기반으로 전자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어문회 8급 배정한자부터 2급배정한자(대학생 교양 수준)까지 한자 낱 글자 하나하나를 그 어원과 생성원리를 함께 고민해
nmd-pws.tistory.com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삼락(君子三樂) '군자의 세가지 즐거움' (0) | 2021.08.29 |
---|---|
조문도석사가의(朝聞道夕死可矣)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0) | 2021.08.28 |
이문불여목견(耳聞不如目見) '귀로 듣는 것은 보는 것만 못하다'(백문이불여일견) (0) | 2021.08.28 |
고근약식(孤根弱植) '일가 친척이나 뒤에서 돌봐주는 사람이 없어 외로움' (0) | 2021.08.27 |
우공이산(愚公移山) '우공이 산을 옮기다' & 우공이산 뜻, 우공이산 유래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