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유필유방
#2 遊必有方
(놀 유, 반드시 필, 있을 유, 모 방)
‘먼 곳에 갈 때에는 (부모님께) 반드시 그 행방을 알려야 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모 방(方)
모 (the side) 방 (7급 해당)
方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소가 (일정한 방향으로) 끄는 쟁기(方)를 형상화한 글자이다. 모, 네모, 모서리, 방향, 장소, 방법 등의 의미를 갖는 글자이다.
활용 ① 사후약방문 (死後藥方文, 죽을 사, 뒤 후, 약 약, 모 방, 글월 문 : 죽은 뒤에 약방문을 씀)
* 약 약(藥) & 사후약방문 참고
활용 ② 품행방정 (品行方正, 물건 품, 다닐 행, 모 방, 바를 정 :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
* 물건 품(品) & 품행방정 참고
#4 부모재, 불원유, 유필유방
논어(論語)에 나오는 구절이다.
子曰 父母在, 不遠遊, 遊必有方
(자왈 부모재, 불원유, 유필유방)
공자님이 말씀하시길
부모가 (살아) 계시면 멀리 나가지 않으며
(부득이하게) 멀리 갈 때에는 반드시 그 행방을 알려야 한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성혁명(易姓革命) ‘성씨를 바꾸어 천명을 혁신함, 왕조가 바뀜’ (1) | 2022.12.06 |
---|---|
천상천하유아독존 뜻(天上天下唯我獨尊)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 (0) | 2022.12.05 |
학문천재보 탐물일조진(學文千載寶 貪物一朝塵) ‘글을 배우는 것은 천년의 보배요, 물건을 탐하는 것은 하루 아침의 티끌임’ (1) | 2022.11.27 |
서족이기성명(書足以記姓名) ‘글은 성과 이름만 기록하면 족하다’ (2) | 2022.11.25 |
불립문자(不立文字) ‘말과 글을 세우지 않는다’ (0) | 2022.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