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필휘지

#2 一筆揮之
일필휘지(하나 일, 붓 필, 휘두를 휘, 갈 지)
‘한번 붓을 들어 휘둘러 완성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붓 필(筆)
붓(BRUSH) 필 (4급 해당)
筆자의 부수는 글자 위의 대나무 죽(竹=𥫗)자이다. 대나무 죽(𥫗) 과 붓 율(聿)자의 결합으로 대나무(𥫗)로 만든 붓(筆)을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붓 율(聿)자를 활용한 글 서(書)/낮 주(晝)/그림 화(畵)도 함께 학습하기 바란다.
* 글 서(書)/낮 주(晝)/그림 화(畵) 학습
신언서판(身言書判) '신체, 말, 글, 판단력' 중국 당대의 관리 선발시 등용기준
#1 신언서판 #2 身言書判 신언서판(몸 신, 말씀 언, 글 서, 판단할 판) '신체, 말, 글, 판단력' 중국 당대의 관리 선발시 활용되던 네 가지 기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글 서(書) 글(writing) 서 (5
nmd-pws.tistory.com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음’ & 주경야독 뜻과 유래
#1 주경야독 #2 晝耕夜讀 주경야독(낮 주, 밭갈 경, 밤 야, 읽을 독) ‘낮에는 밭을 갈고(농사를 짓고) 밤에는 책을 봄(공부를 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낮 주(晝) 낮(DAY) 주 (5급 해당) 晝자의
nmd-pws.tistory.com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을 그리고 눈동자를 찍어 넣다’ & 화룡점정 뜻과 유래
#1 화룡점정 뜻 #2 畵龍點睛 화룡점정(그림 화, 용 룡, 점 점, 눈동자 정) ‘용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찍어 넣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그림 화/그을 획(畫) 그림(PICTURE) 화/ 그을(DRAW
nmd-pws.tistory.com
활용 ① 필문필답 (筆問筆答, 붓 필, 물을 문, 대답할 답 : 글로 써서 묻고 글로 써서 답함)
활용 ② 대서특필 (大書特筆, 큰 대, 글 서, 특별할 특, 붓 필 : 큰 글씨로 특별히 씀)
* 글 서(書) & 대서특필(利害打算) 학습 참고
대서특필(大書特筆) ‘큰 글씨로 (두드러지게) 특별히 쓰다’
#1 대서특필 #2 大書特筆 대서특필(큰 대, 글 서, 특별할 특, 붓 필) ‘큰 글씨로 특별히 쓰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특별할 특(特) 특별할(SPECIAL) 특 (5급 해당) 特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nmd-pws.tistory.com
활용 ③ 능서불택필 (能書不擇筆, 능할 능, 글 서, 아닐 부, 가릴 택, 붓 필 :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지 않음)
* 능할 능(能) & 능서불택필 학습 참고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
#1 능서불택필_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2 能書不擇筆 능서불택필(능할 능, 글 서, 아니 불, 가릴 택, 붓 필)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능할 능(能) 能
nmd-pws.tistory.com
활용 ④ 지필연묵 문방사우 (紙筆硯墨 文房四友, 종이 지, 붓 필, 벼루 연, 먹 묵, 글월 문, 방 방, 넉 사, 벗 우 : 종이, 붓, 벼루, 먹은 글방의 네 가지 벗임)
* 글월 문(文) & 문방사우 학습 참고
지필연묵 문방사우(紙筆硯墨 文房四友)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은 글방의 네 벗임’
#1 문방사우 뜻 #2 紙筆硯墨 文房四友 지필연묵(종이 지, 붓 필, 벼루 연, 먹 묵) 문방사우(글월 문, 방 방, 넉 사, 벗 우) ‘종이, 붓, 벼루, 먹은 글방의 네 벗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글월 문
nmd-pws.tistory.com
활용 ⑤ 동호지필 (董狐之筆, 감독할 동, 여우 호, 갈 지, 붓 필 : 동호의 붓, 역사를 기록함에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그대로 써서 남김을 비유)
#4 일필휘지의 대가 시선 이백
붓을 한 번 들어 휘두르면
바로 시가 되는 천부적인 재능
바로 일필휘지의 대가
시선(詩仙) 이백의 이야기이다.
이백의 시 중에서 많이 알려진
산중문답을 소개하고자한다.
山中問答
(산중문답)
問余何事棲碧山
(문여하사서벽산)
묻노니, 그대는 왜 푸른 산에 사는가?
笑而不答心自閑
(소이부답심자한)
웃으며 답은 않고, 마음은 한가롭네
桃花流水杳然去
(도화유수묘연거)
복사꽃은 흐르는 물에 아득히 흘러가고
別有天地非人間
(별유천지비인간)
천지가 따로 있어 인간세상이 아니로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덕은 외롭지 않고 반드시 이웃이 있음’ & 덕불고필유린 뜻, 논어 이인편 (0) | 2022.04.18 |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일체(모든)의 것은 마음이 만들어낸다’ & 일체유심조 뜻, 의미, 영어 & 원효대사 일체유심조 (0) | 2022.04.18 |
격화일로(激化一路) ‘다만 격렬하게 되어가는 과정’ , 격화일로 뜻, 활용 (0) | 2022.04.17 |
지필연묵 문방사우(紙筆硯墨 文房四友)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은 글방의 네 벗임’ (0) | 2022.04.17 |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음’ & 주경야독 뜻과 유래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