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입하
#2 立夏
입하(설 립, 여름 하)
‘여름이 시작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여름 하(夏)
여름(SUMMER) 하 (6급 해당)
夏자의 부수는 머리 수(𦣻=首)자이다. 머리 수(𦣻)자와 뒤쳐져 올 치(夂)의 결합이다. 머릿속(𦣻)으로는 더운 여름(夏)이 천천히 뒤쳐져(夂) 왔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한다고 의미를 만들어두자.
* 머리 수(首) & 수서양단 학습 참고
활용 ① 하로동선 (夏爐冬扇, 여름 하, 화로 로, 겨울 동, 부채 선 :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 소용 없는 것)
활용 ② 춘하추동 (春夏秋冬, 봄 춘, 여름 하, 가을 추, 겨울 동 :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
#4 입하 뜻, 입하 한자, 24절기
24절기의 한자와 뜻을 하나하나 살펴본다.
立春(입춘: 설 립, 봄 춘)
24절기 입춘
입춘은 양력 2월 4일로
봄의 시작을 의미한다.
雨水(우수: 비 우, 물 수)
24절기 우수
우수는 양력 2월 19일로
눈이 아닌 비가 내리는 절기이다.
驚蟄(경칩: 놀랄경, 숨을 칩)
24절기 경칩
경칩은 양력 3월 5일로
겨울잠자던 벌레가 놀라 깨어남을 의미한다.
춘분(春分 : 봄 춘, 나눌 분)
24절기 춘분
춘분은 양력 3월 21일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절기이다.
淸明(청명: 맑을 청, 밝을 명)
24절기 청명
청명은 양력 4월 5일로
하늘이 점점 맑아지는 절기이다.
穀雨(곡우: 곡식 곡, 비 우)
24절기 곡우
곡우란 양력 4월 20일로
농사를 시작할 때쯤
곡식을 잘 자라게 해주는 비가 내리는 절기이다.
立夏(입하: 설 립, 여름 하)
24절기 입하
입하는 양력 5월 5일로
여름의 시작을 의미한다.
小滿(소만: 작을 소, 찰 만)
24절기 소만
소만은 양력 5월 21일로
만물이 점차 성장해 가득찬다는 의미이다.
芒種(망종: 까끄라기 망, 씨 종)
24절기 망종
망종은 양력 6월 6일로
곡식의 씨를 뿌리는 날을 의미한다.
夏至(하지: 여름 하, 지극할지)
24절기 하지
하지란 양력 6월 21일로
1년 중에 낮이 가장 긴 날을 의미한다.
小暑(소서: 작을 소, 더울 서)
24절기 소서
소서는 양력 7월 7일로
작은 더위라는 뜻이다.
大暑(대서: 클 대, 더울 서)
24절기 대서
대서는 양력 7월 23일로
큰 더위라는 뜻이다.
立秋(입추: 설 립, 가을 추)
24절기 입추
입추는 양력 8월 7일로
가을의 시작을 의미한다.
處暑(처서: 곳 처, 더울 서)
24절기 처서
처서는 양력 8월 23일로
더위를 처분한다는 뜻이다.
白露(백로: 흰 백, 이슬 로)
24절기 백로
백로는 양력 9월 8일로
하얀 이슬이라는 뜻이다.
秋分(추분: 가을 추, 나눌 분)
24절기 추분
추분은 양력 9월 23일로
밤이 점차 길어져
춘분과 마찬가지로
밤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절기이다.
寒露(한로: 찰 한, 이슬 로)
24절기 한로
한로는 양력 10월 8일로
차가운 이슬이 맺힌다는 의미이다.
霜降(상강: 서리 상, 내릴 강)
24절기 상강
상강은 양력 10월 23일로
서리가 내리기 시작함을 의미한다.
立冬(입동: 설 립, 겨울 동)
24절기 입동
입동은 양력 11월 7일로
겨울의 시작을 의미한다.
小雪(소설: 작을 소, 눈 설)
24절기 소설
소설은 양력 11월 22일로
‘작은 눈’이라는 의미로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절기이다.
大雪(대설: 클 대, 눈 설)
24절기 대설
대설은 양력 12월 7일로
큰 눈이 내리는 절기이다.
冬至(동지: 겨울 동, 지극할지)
24절기 동지
동지는 양력 12월 22일로
하지와 반대로 1년 중 밤이 가장 긴 때이다.
小寒(소한: 작을 소, 찰 한)
24절기 소한
소한은 양력 1월 5일로
작은 추위라는 뜻이긴하나,
겨울 중에 가장 추운 시기이다.
大寒(대한: 클 대, 찰 한)
24절기 대한
대한은 양력 1월 20일로
‘큰 추위’라는 뜻이나,
소한보다 덜 춥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려호획 불위호성(弗慮胡獲 弗爲胡成) ‘생각하지 않고 어찌 얻으며, 행하지 않고 어찌 이루겠는가’ & 아닐 불 (0) | 2022.04.21 |
---|---|
신궁(神弓) ‘신이 내린 궁수, 활 쏘는 재주가 아주 뛰어난 사람을 비유’ & 신궁 현궁 천궁 (0) | 2022.04.21 |
오비삼척(吾鼻三尺) ‘내 코가 석자’ 오비삼척 뜻, 내 코가 석자다 뜻과 유래 (0) | 2022.04.20 |
빙산(氷山)의 일각(一角) ‘얼음 산의 뿔’ 빙산의 일각 뜻 (0) | 2022.04.20 |
피사체(被寫體) ‘사진에 찍히는 물체’ 피사체 뜻, 피사체 한자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