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야장천 뜻
#2 晝夜長川
주야장천(낮 주, 밤 야, 길 장, 내 천)
‘낮과 밤으로 쉬지 않고 흐르는 냇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내 천(川)
내 (stream) 천 (7급 해당)
川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하천에서 물이 흘러가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활용 ① 건천 (乾川, 마를 건, 내 천 : 마른 내)
활용 ② 명산대천 (名山大川, 이름 명, 뫼 산, 큰 대, 하늘 천 : 이름난 산과 큰 내)
#4 주야장천 뜻
주야장천(晝夜長川)이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낮 주, 밤 야, 길 장, 내 천 자를 써서
‘낮과 밤으로 늘(길게, 항상) 흐르는 냇물’을 뜻한다.
‘밤낮으로 쉬지 않고’ 무엇인가 이어질 때를
비유하는 말로 흔히 쓰인다.
현진건의 소설 <운수 좋은 날>에 김첨지의 대사에도
주야장천이라는 말이 등장한다.
김첨지가 설렁탕을 사서 집에 돌아가 아내를
불렀지만 아내가 대답이 없자 역정을 내며 하는 말.
“이런 오라질년, 주야장천(晝夜長川) 누워만 있으면 제일이야?
남편이 와도 일어나지를 못해?”
#5 한자교육의 필요성 &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교육부지정 상용한자 1800자 파일, 기초한자 1800자, 중학교 기초한자 900자, 고등학교 기초한자 900
한자교육의 필요성 및 한자교육의 효과 한자는 왜 배워야 할까?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삶의 풍요로움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기인할 수 있겠으나, 내가 생각하는 풍
nmd-pws.tistory.com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티스토리 블로그 작업물을 기반으로 전자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어문회 8급 배정한자부터 2급배정한자(대학생 교양 수준)까지 한자 낱 글자 하나하나를 그 어원과 생성원리를 함께 고민해
nmd-pws.tistory.com
* 앞으로 진행되는 상용한자 교육에 참고하기 바랍니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지만 봄 같지가 않음’ & 춘래불사춘 의미 (0) | 2023.02.14 |
---|---|
부촌(富村) ‘부자가 많이 사는 동네’ & 부촌, 빈촌 (0) | 2023.02.12 |
마천루(摩天樓) ‘하늘을 문지르는 다락’ & 마천루 뜻 (0) | 2023.02.12 |
천리지행시어족하(千里之行始於足下) ‘천리길도 발아래에서부터 시작함’ &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0) | 2023.02.12 |
지방(紙榜) ‘종이 조각에 글로 써서 만든 돌아가신 분의 위패’ & 지방쓰는법, 현고학생부군신위 뜻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