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지육림
#2 酒池肉林
주지육림(술 주, 못 지, 고기 육, 수풀 림)
‘술 연못, 고기 숲’
즉, 술이 연못을 이루고 고기가 수풀을 이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수풀 림(林)
수풀 (wood) 림 (7급 해당)
林자의 부수는 나무 목(木)자이다. 나무 목(木)자 2개가 겹쳐진 형태로 나무 많은 곳을 수풀이라 부른다고 기억해두자. 참고로 후에 배우겠지만 나무 목(木)자가 3개가 겹쳐지면 빽빽할 삼(森)자가 된다.
합포지목 생어호말(合抱之木 生於毫末) ‘아름드리 나무도 털끝(같은 씨앗)에서 나온다’ & 구층
#1 합포지목 생어호말 #2 合抱之木 生於毫末 (합할 합, 안을 포, 갈 지, 나무 목, 날 생, 어조사 어, 터럭 호, 끝 말) ‘한아름 되는 나무도 터럭 끝(씨앗)에서 나온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나
nmd-pws.tistory.com
* 나무 목(木) & 합포지목생어호말 참고
활용 ① 풍림화산 (風林火山, 바람 풍, 수풀 림, 불 화, 뫼 산 : 손자병법 상 군세 행동의 지침, 바람처럼 빨리, 숲처럼 정연하게, 불처럼 기세좋게, 산처럼 침착하게)
활용 ② 죽림칠현 (竹林七賢, 대 죽, 수풀 림, 일곱 칠, 어질 현 : 대 숲의 일곱 현인)
#4 주지육림의 유래
주지육림 뜻
주지육림(酒池肉林)은
술로 연못을 이루고 고기로 수풀을 이룰만큼
지나치게 호화롭고 방탕한 생활을 비유하는 말이다.
주지육림의 유래
주지육림은 사마천의 역사서인 사기(史記)의 제왕세기십팔사략에서 등장한다.
간략히 말하면 중국 은나라의 주왕이 여자에 빠져
정사는 뒤로한 채 술 연못, 고기 숲을 만드는 등
방탕한 생활을 하다 나라가 망하게 된다는 내용이다.
※ 중국의 고대는 요순임금(태평성대라 불림) 이후
하은주(夏殷周) 3왕조로 이어지는데
은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은
달기라는 여자에 빠져 정사는 뒤로한 채 주지육림(酒池肉林)에 빠지고만다.
이에 결국 무왕(武王)이 은나라를 멸하고 주(周)나라를 세우게 된다.
십팔사략 원문 중 주지육림과 관계된 부분을 일부 발췌하면 다음과 같다.
有施以妺喜女焉 有寵所言皆從
(유시이말희여언 유총소언개종)
유시라는 자가 말희라는 여인을 (걸왕에게) 바치니
(걸왕은) 총애하고 그 말하는 바를 모두 따라주었다.
爲傾宮瑤臺 殫民材 肉山脯林
(위경궁요대 탄민재 육산포림)
경궁과 요대를 짓느라 백성 재산을 다 탕진하고
고기는 산을 이루고 말린 고기는 수풀을 이루었다.
酒池可以運船 糟堤可以望十里
(주지가이운선 조제가이망십리)
술(로 채운) 연못에 배를 띄울 수 있고
술찌꺼기(로 쌓은) 둑은 십리 밖에서도 보였다.
一鼓而牛飮者三千人
(일고이우음자삼천인)
북소리 한 번 울리면
소가 마시듯 (술을) 마시는 자가 삼천 명이니
妺喜以爲樂 國人大崩
(말희이위락 국인대붕)
말희는 이를 보고 즐기고 민심은 크게 무너졌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티스토리 블로그 작업물을 기반으로 전자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어문회 8급 배정한자부터 2급배정한자(대학생 교양 수준)까지 한자 낱 글자 하나하나를 그 어원과 생성원리를 함께 고민해
nmd-pws.tistory.com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벌백계(復命復唱)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하게 함’ & 일벌백계 뜻 (1) | 2023.01.16 |
---|---|
복명복창(復命復唱) ‘명 받은 바를 (그 자리에서) 되풀이하여 말함’ & 복명복창 뜻과 한자 (2) | 2023.01.15 |
일사천리(一瀉千里) ‘한번 쏟아져 단번에 천리를 감’ & 일사천리 뜻 (0) | 2023.01.13 |
등고자비(登高自卑)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 등고자비의 뜻, 등고자비 행원자이 (1) | 2023.01.13 |
태극기(太極旗) ‘우리나라의 국기’ & 태극기 의미, 태극기 건곤감리 feat. 주역 (1) | 202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