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2021년은 신축년, 2022년은 임인년
#2 신축년, 임인년
신축년(辛丑年)
60간지 중 38번째 해, '하얀 소의 해'
임인년(壬寅年)
60간지 중 39번째 해, '검은 호랑이의 해'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낮 오(午)
午 의 부수는 열 십(十)자이다. 갑골문상으로는 절굿공이의 모양을 형상화했다고 한다. 사람인 변(亻)을 가로로 눕혀 놓고, 그 아래 열 십(十)자가 붙었다고 생각하면, 사람은 열시(十)만 되면 얼른 정오(낮 12시)가 되기를 기다린다는 의미로 생각해보면 어떨까?
활용 ① 오시 (午時, 낮 오, 시간 시 :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십시이시의 일곱째시.)
'오시(午時)는 십이시의 일곱째 시로,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이다.
활용 ② 오침 (午寢, 낮 오, 잘 침 : 낮잠.)
'꿀맛같던 숲 속에서의 오침(午枕)'
#3 12지_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12지는 동물의 활동시간을 의미한다고 한다.
조상들은 12지를 활용해 시간을 표기하였으며,
10간과 12지를 활용해 육십간지(육갑)를 만들어
년도를 표기하기도 했다.
10간과 12지는 외워두면 여러모로 쓸 일이 많을 것이다.
10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12지
자(子)_ 쥐
축(丑)_ 소
인(寅)_ 범
묘(卯)_ 토끼
진(辰)_ 용
사(巳)_ 뱀
오(午)_ 말
미(未)_ 양
신(申)_ 원숭이
유(酉)_ 닭
술(戌)_ 개
해(亥)_ 돼지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득기소(各得其所 ) '저마다 그 있어야 할 곳을 얻다' (0) | 2021.06.10 |
---|---|
동상이몽(同床異夢) '한 침상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꾸다' (0) | 2021.06.10 |
승당입실(升堂入室) '마루에 올라 방으로 들어가다' & 승당입실 뜻 (0) | 2021.06.09 |
외유내강(外柔內剛) '겉은 부드럽지만 안은 강함' & 외유내강 뜻 (0) | 2021.06.09 |
곡불욕이백(鵠不浴而白) '따오기는 목욕을 하지 않아도 희다'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