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용한자 164

고복격양(鼓腹擊壤) ‘배를 두드리고 흙덩이를 침’

#1 고복격양 #2 鼓腹擊壤 고복격양(북 고, 배 복, 칠 격, 흙덩이 양) ‘배를 두드리고 흙덩이를 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칠 격 칠 (hit) 격 (4급 해당) 擊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손 수(手)자이다. 글자를 쪼개어보면 車(수레 거) + 凵(입+ 벌릴 감) + 殳(몽둥이 수) + 手(손 수) 의 결합으로 보아 수레(車)들이 마치 입을 벌린(凵) 듯한 모습으로 적들을 감싸고 몽둥이(殳)로 치고 손(手)으로 치는(擊)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이란격석 (以卵擊石, 써 이, 알 란, 칠 격, 돌 석 : 계란으로 돌을 치듯) 활용 ② 각개격파 (各個擊破, 각각 각, 낱 개, 칠 격, 깨뜨릴 파 : 낱낱을 각각 격파함) #4 고복격양 고복격양(鼓腹擊壤)이란 문자 그..

근검절약(勤儉節約) ‘부지런하고 검소하게 재물을 아낌’

#1 근검절약 #2 勤儉節約 근검절약(부지런할 근, 검소할 검, 마디 절, 맺을 약) ‘부지런하고 검소하게 재물을 아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검소할 검 검소할 (temperate) 검 (4급 해당) 儉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사람인변(亻=人)이다. 亻(사람인변) + 僉(다 첨)의 결합으로 사람(亻)은 무릇 세상의 모든 물건을 다(僉) 가질 수는 없으므로 그러한 욕망을 억누르고 검소(儉)해야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검소 (儉素, 검소할 검, 본디 소 : 치레하지 않고 수수함) 활용 ② 검약 (儉約, 검소할 검, 맺을 약 : 검소하게 절약하여 사용함) #4 근검절약 근검절약(勤儉節約)이란 부지런하고 알뜰하게 재물을 절약함을 의미한다. 勤(근)이란 부지런함을 말한다. 儉(검)이란 검소..

거벽(巨擘) ‘특정 분야에서 능력이 남다르게 뛰어난 사람’

#1 거벽 뜻 #2 巨擘 거벽(클 거, 엄지손가락 벽) ‘특정 분야에서 기능 또는 능력이 남달리 뛰어난 사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클 거 클 거 (big) 거 (4급 해당) 巨자의 부수는 장인 공(工 )자이다. 글자의 모양이 간단하므로 여러번 써서 글자에 익숙해지도록 하자. 유사한 모양의 글자인 신하 신(臣)자와 비교하여 기억해두자. 활용 ① 거시적 (巨視的, 클 거, 볼 시, 과녁 적 : 사물 등을 전체적으로 분석 또는 파악하는 것) 활용 ② 거함 (巨艦, 클 거, 큰 배 함 : 매우 큰 군함) #4 거벽 거벽(巨擘)이란 클 거, 엄지손가락 벽자를 쓰는데 어떠한 전문 분야에서 남달리 뛰어난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된다. 또한 거벽(巨擘)은 조선 시대에 과거시험 답안지를 전문적으로 대신 ..

준거집단(準據集團) ‘자기의 행위나 규범의 표준으로 삼는 집단’

#1 준거집단 뜻 #2 準據集團 준거집단(준할 준, 근거 거, 모을 집, 둥글 단) ‘자신의 행위나 규범의 표준으로 삼는 집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근거 거 근거 거 (basis) (4급 해당) 據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재방변(扌=手자의 부수 변형)이다. 扌(=手 손 수) + 虎(범호) + 豕(돼지 시)의 결합으로 ‘직접 손(扌)으로 호랑이(虎)와 돼지(豕)를 잡아서 내가 힘이 세다는 증거(據)를 보여준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군웅할거 (群雄割據, 무리 군, 수컷 웅, 벨 할, 근거 거 : 여러 영웅이 세력을 다퉈 땅을 갈라 버티고 있음) 활용 ② 거점 (據點, 근거 거, 점 점 : 어떤 활동의 근거가 되는 중요한 지점) #4 준거집단 뜻 준거(準據)란 준할 준, 근거 거 자..

환갑(還甲) ‘60 갑자가 돌아옴, 만 60세를 칭하는 말’ & 환갑, 회갑, 화갑

#1 환갑 #2 還甲 환갑(돌아올 환, 갑옷 갑) ‘(60)갑자가 돌아옴, 만 60세를 칭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갑옷 갑 갑옷 (armor) 갑 (4급 해당) 甲자의 부수는 밭 전(田)자이다. 田(밭 전) + 丨(뚫을 곤)의 결합으로 특별한 의미를 만들지는 말고 갑옷의 형태를 형상화 했다고 기억해두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활용 ① 갑남을녀 (甲男乙女, 갑옷 갑, 사내 남, 새 을, 여자 녀 :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 즉 보통의 평범한 사람들을 지칭) 활용 ② 삼수갑산 (三水甲山, 석 삼, 물 수, 갑옷 갑, 뫼 산 : 함경도에 위치한 삼수와 갑산이라는 교통이 불편한 오지) #4 환갑, 회갑, 화갑 還甲(환갑)이란 ‘갑자가 돌아오다’라는 의미이다. 이 때의 갑자란 이른바..

약방에 감초(藥房甘草) ‘약을 제조하는 한약방에 단 맛이 나는 풀’

#1 약방에 감초 #2 藥房甘草 약방감초(약 약, 방 방, 달 감, 풀 초) ‘한약방에 있는 단 맛이 나는 풀’ ‘특정 상황에 반드시 끼어 있어야 하는 사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달 감 달 (sweet) 감 (4급 해당) 甘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입(口) 속에 단 음식을 한 가득 머금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라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감탄고토 (甘呑苦吐, 달 감, 삼킬 탄, 쓸 고, 토할 토 : 달면 삼키고 쓰면 뱉음) 활용 ② 감언이설 (甘言利說, 달 감, 말씀 언, 이로울 리, 말씀 설 : 달콤한 말과 이로운 이야기) 활용 ③ 고진감래 (苦盡甘來, 쓸 고, 다할 진, 달 감, 올 래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옮) #4 약방감초, 약방에 감초 약방감초(藥房甘草)란 약방,..

간성지재(干城之才) ‘방패와 성과 같은 구실을 하는 인재,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인재’

#1 간성지재 #2 干城之才 간성지재(방패 간, 재 성, 갈 지, 재목 재) ‘방패와 성의 구실을 하는 인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방패 간 방패 (offend) 간 (4급 해당) 干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화살이나 칼 등의 적의 침입을 막아내는 방패의 모습을 형상화 한 글자라고 기억해두자. 한 겹(丅)으로 된 방패가 아니라 두 겹(干)으로 된 두꺼운 방패를 들고 있는 모습을 기억해도 좋다. 동사로 사용될 때에는 ‘막다, 방어하다’의 뜻도 있지만, ‘간여하다, 간섭하다’의 뜻도 갖는다. 활용 ① 간섭 (干涉, 방패 간, 건널 섭 : 관계없는 남 일에 부당히 참견함) 활용 ② 간여 (干與, 방패 간, 더불 여 : 간섭해 참여함) #4 간성지재 간성지재(干城之才)란 방패와 성과 같이 외..

간단명료(簡單明瞭) ‘간단하고 명료함’

#1 간단명료 #2 簡單明瞭 간단명료(간략할 간, 홑 단, 밝을 명, 밝을 료) ‘간단하고 명료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간략할 간 간략할 (simple) 각 (4급 해당) 簡자의 부수는 글자 상단의 대나무 죽(竹)자이다. 竹(대나무 죽) + 間(사이 간)의 결합이다. 옛날에 중국에서는 대나무 잘라 만든 죽간(竹簡, 문자를 기록하던 대나무 조각)에 글을 써서 전달했는데 대나무(竹) 사이(間)에는 많은 내용을 적을 수는 없었으므로 핵심만 간략히(簡) 적어야 했다는 의미로 간략할 간(簡)자가 되었다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간결 (簡潔, 간략할 간, 깨끗할 결 : 간단하고 깨끗함) 활용 ② 간이 (簡易, 간략할 간, 바꿀 역/쉬울 이 : 간단하고 쉬움) #4 간단명료 간단명료(簡單明瞭)란 말 그대..

유급휴가(有給休暇) ‘급료(給料)가 지급되는 휴가’ & 유급휴가, 연가, 공가, 병가

#1 유급휴가 뜻 #2 有給休暇 유급휴가(있을 유, 줄 급, 쉴 휴, 틈 가) ‘휴가 기간 중에도 급료가 지급되는 휴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틈, 겨를 가 틈, 겨를 (leisure, spare time) 가 (4급 해당) 暇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날 일(日)자이다. 日(날 일) + 叚(빌릴 가)가 결합한 형태로, 날(日)을 잠깐 빌려 잠시 쉴 겨를(暇)을 가진다고 기억해두자. 참고로 빌릴 가(叚)의 형태는 굳이 의미를 만들지 말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이에 더하여 사람인변(亻)과 빌릴 가(叚)가 결합하면 ‘사람이 무엇인가 자꾸 빌리면 거짓된 사람이다 라는 의미에서 거짓 가(假)자가 되는 것도 추가로 학습해두자. 활용 ① 석불가난 (席不暇暖, 자리 석, 아니 불, 겨를 가, 따..

백약이 무효(百藥無效) ‘백가지의(온갖) 약이 모두 효능이 없음’

#1 백약이 무효 #2 百藥無效 百藥無效(일백 백, 약 약, 없을 무, 본받을 효) ‘온갖 약이 모두 효능이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본받을 효 본받을 (emulate, follow) 효 (6급 해당) 效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칠 복(攵=攴)*자이다. 交(사귈 교) + 攵(칠 복)이 결합한 형태로 서로 사귀는(交) 친구 사이에서도 큰 잘못이 있으면 회초리를 들어 때려(攵) 잘못된 바를 고쳐 본받게(效) 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글월 문(文)과 그 형태가 유사하여 부수 독립적으로 칭할 때 ‘등글월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활용 ① 발효 (發效 필 발, 본받을 효 : 조약, 법률 등의 효력이 생김) 활용 ② 효험 (效驗, 본받을 효, 시험 험 : 일이나 작용의 좋은 보람) #4 백약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