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욕정이풍부지 5

조구지필대시(鳥久止必帶矢) ‘새도 한 곳에 오래 앉아 있으면 화살을 맞음’

#1 조구지필대시 #2 鳥久止必帶矢 (새 조, 오랠 구, 그칠지, 반드시 필, 띠 대, 화살 시) ‘새도 한 곳에 오르 그쳐 있으면 화살을 맞게 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그칠 지(止) 그칠 (stop) 지 (4급 해당) 止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갑골문상 상형자로 엄지발가락이 길게 뻗은 발을 묘사한 형태라고한다. 우리는 땅(一) 위에서 사람이 서서(丨) 목발(卜)같은 것을 짚고 서서 멈춰(止) 있는 모습을 떠올리며 여러번 쓰면서 익숙해지도록하자. 활용 ① 수욕정이풍부지 (樹欲靜而風不止, 나무 수, 하고자할 욕, 고요할 정, 말 이을 이, 바람 풍, 아닐 부, 그칠 지 :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음) 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

일년지계막여수곡(一年之計 莫如樹穀)'일 년의 계획은 곡식을 심는 것만한 것이 없다'

#1 일년지계막여수곡/ 십년지계막여수목/ 종신지계막여수인 #2 一年之計莫穀如樹穀/ 十年之計莫如壽木/ 終身之計 莫如樹人 일년지계막여수곡 (하나 일, 해 년, 갈 지, 셀 계, 없을 막, 같을 여, 나무 수, 곡식 곡) ‘일 년의 계획은 곡식을 심는 것만한 것이 없다.’ 십년지계막여수목 (열 십, 해 년, 갈 지, 셀 계, 없을 막, 같을 여, 나무 수, 나무 목) ‘십 년의 계획은 나무를 심는 것만한 것이 없다.’ 종신지계막여수인 (마칠 종, 몸 신, 갈 지, 셀 계, 없을 막, 같을 여, 나무 수, 사람 인) '평생의 계획은 사람을 심는 것만한 것이 없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나무 수(樹) 나무(tree) 수 (5급 해당) 樹 자의 부수는 나무 목(木) 자이다. 글자 우측으로는 열 십(十..

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음'

#1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2 樹欲靜而風不止 수욕정이풍부지(나무 수, 하고자할 욕, 고요할 정, 말 이을 이, 바람 풍, 아닐 불, 그칠 지)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음' 부모에게 효도하고 싶어도 부모가 세상에 계시지 않음' 유사한 의미로 수욕정이풍부지와 대구를 이루는 '자욕양이친부대'와 '풍수지탄', '풍목지비' 가 있다. 자욕양이친부대 '자식은 부모에 효도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1 자식은 효도하고자 하나, #2子欲養而親不待 자욕양이친부대(아들 자, 하고자할 욕, 기를 양, 말 이을 이, 친할 친, 아니 불, 기다릴 대) '자식은 봉양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리지 않는다.' #3 상 nmd-pws.tistory.com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바람..

욕속부달, 욕속이부달(欲速不達, 欲速則不達) '빨리 하고자 하면 도달히지 못함'

#1 욕속부달_빨리 가고자 하면 도달하지 못함 #2 欲速不達 욕속부달(하고자 할 욕, 빠를 속, 아닐 불, 통달할 달) '빨리 하고자 하면 도달하지 못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하고자 할, 바랄 욕(欲) 하고자 할(desire, want) 욕 欲 (2급 해당) 欲 자의 부수는 우측의 하품 흠(欠) 자이다. 좌측의 골 곡(谷) 자와 하품 흠(欠) 자의 결합인 바,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모두 다 하품하듯(欠) 입을 크게 벌려 받아 마시려는 모습이라는 의미에서, 하고자 하다, 욕심의 의미가 생겨났다. 실제 쓰임에서는 '하고자 할 욕(欲)' 자와 '욕심 욕(慾)' 자를 크게 구분하지 않고 쓴다. ​ 활용 ① 욕망 (欲望, 하고자 할 욕, 바랄 망 : 칭.) ‘더 좋고 넓은 집에 살겠다는 욕망(..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자식은 부모에 효도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1 자식은 효도하고자 하나, #2子欲養而親不待 자욕양이친부대(아들 자, 하고자할 욕, 기를 양, 말 이을 이, 친할 친, 아니 불, 기다릴 대) '자식은 봉양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리지 않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기를 양(養) 養에서 부수는 밥 식(食)이며, 위에 붙은 양 양(羊)에서 소리를 따왔다. 양에게 밥을 먹여 기른다고 생각하면 쉽다. 앞서 언급한 형성자의 전형이다. 양(羊)에서 소리를, 부수로 쓰인 식(食)에서 의미를 따온 것이다. 소리를 따온 양에서도 단순히 소리만 가져왔다고 생각하지 말고, 글자의 의미를 덧붙여 생각하여 의미를 만들어 본다면 더욱 더 쉽게 익힐 수 있다. ​ ​활용 ① 자양분 (滋養分, 불을 자, 기를 양, 나눌 분 : 자양이 될 음식의 성분.) ​“실패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