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2023년은 무슨 해
#2 癸卯年
계묘년(북방/열째 천간 계, 토끼/넷째 지지 묘)
‘60간지 중 40번째로, 검은 토끼의 해’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토끼 묘(卯)
토끼 (rabbit) 묘 (2급 해당)
卯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병부 절(卩)이다. 해당 한자는 토끼 또는 넷째 지지를 의미한다. 부수로 쓰인 병부절(卩)은 글자의 뜻과 관계가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 卯 자의 형태가 양쪽 문을 활짝 열고 놓고 토끼몰이를 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정묘호란 (丁卯胡亂, 고무래 정, 토끼 묘, 오랑캐 호, 어지러울 란 : 1627년 인조 5년 후금의 침입으로 일어난 후금과 조선 사이의 전쟁)
활용 ② 기묘사화 (己卯士禍, 몸 기, 토끼 묘, 선비 사, 재앙 화 : 1519년 중종 14년 조광조 일파의 급진 개혁에 대해 반발하여 일어난 사림의 화)
#4 계묘년 & 2023년 무슨 띠, 무슨 해
2023년 계묘년
바야흐로 2023년 계묘년(癸卯年)의 해가 밝고 있다.
2023년 계묘년은 ‘검은 토끼의 해’이다.
계묘년은 60간지 중 40번째를 이루는데
이 때 말하는 60간지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10간과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12지로 구성되어
60갑자를 구성한다.
*60갑자 참고
이 때 계묘(癸卯)는 60번째 중
12번째이고 그 뜻은 ‘검은 토끼’이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외한(門外漢) ‘문 밖의 사람’ & 문외한 의미, 뜻, 한자, 유래 (2) | 2023.01.02 |
---|---|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에 사람이 없음’ & 안하무인 뜻과 한자 (0) | 2023.01.01 |
좌지우지(左之右之) ‘왼쪽으로 돌렸다 오른쪽으로 돌렸다 하다’ & 좌지우지하다 (1) | 2022.12.31 |
사필귀정(事必歸正) ‘(모든) 일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감’ & 사필귀정 뜻과 한자 (1) | 2022.12.31 |
전대미문(前代未聞) ‘지난 시대에는 들어본 적 없는’ & 전대미문 뜻 (1) | 2022.12.31 |